[Sites]
Youtube 바로가기
LinkedIn 바로가기
[Career]
現) JSCODE - 대표 멘토, CEO
前) (주)트라이포드랩 - CTO
前) (주)온리원유니버스 - CTO
前) 달리(DALY) - CTO
前) 팀메이트(Teammate) - CEO
[Books]
『Do it! JSCODE의 AWS 입문』, 이지스퍼블리싱 (2025.05)
[ETC]
- 기업 대상 개발 컨설팅 및 코딩 교육 활동
Courses
Reviews
hyunjin0774742
·
MySQL Performance Optimization Guide for Non-Specialists: Beginner to Advanced (SQL Tuning Edition)MySQL Performance Optimization Guide for Non-Specialists: Beginner to Advanced (SQL Tuning Edition)- AWS Introduction/Practical Guide That Even Non-Majors Can Understand
- Docker Beginner/Practical Guide That Even Non-Majors Can Understand
- Nginx Introduction/Practice for Non-Specialists to Understand
- AWS Introduction/Practical Guide That Even Non-Majors Can Understand
Posts
Q&A
섹션 4 FROM : 베이스 이미지 생성 openjdk:17-jdk not found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 Docker hub 정책변화로openjdk 이미지를 eclipse-temurin 으로 이전한 상태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확인해보니 OpenJDK 이미지가 Docker Hub에서 deprecated 되었네요 !Dockerfile의 FROM openjdk:17-jdk 를 FROM eclipse-temurin:17-jdk로 수정하셔서 실습을 마저 진행해 주시면 돼요 !해당 부분의 수업 자료는 수정해 놓겠습니다 :)수강생님의 질문 덕분에 다른 수강생분들께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ㅎㅎ추가로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32
Q&A
HTTPS 적용 전인데 HTTPS로 접속이 가능한 이유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정리해서 답변드려볼게요 ~"이 강의를 통해 HTTPS를 적용하기 전에, CloudFront의 배포 도메인 이름(https://d3~~~~~~.cloudfront.net/)으로 접속을 해 봤는데 https가 적용이 됐었습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CloudFront의 도메인의 경우 AWS에서 CloudFront 서비스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SSL/TLS 인증서를 제공하기 때문에 CloudFront의 기본 배포 도메인(d3~~~~~~.cloudfront.net)은 별도 설정 없이도 이미 HTTPS가 적용되어 있어요 !하지만 jscode-edu.link와 같은 커스텀 도메인의 경우에는 직접 인증서를 발급받아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해요 !SSL/TLS 인증서는 특정 도메인에 대해서만 유효하기 때문이죠 !AWS가 제공하는 기본 인증서는 CloudFront의 기본 도메인(d3~~~~~~.cloudfront.net)에 대해서만 유효하고, 구매한 커스텀 도메인(jscode-edu.link)에 대해서는 유효하지 않아요 !그래서 커스텀 도메인을 사용하려면 AWS Certificate Manager에서 해당 도메인에 대한 인증서를 새로 발급받아야 하고, 발급받은 인증서를 CloudFront 설정에 연결해 주어야 HTTP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돼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6
Q&A
CloudFront 생성 시 HTTP와 HTTPS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사용자가 HTTPS 요청을 보내는 거에 대해선 허락하지 않은 건가요?"-> 아니에요! 오히려 반대에요 ~첫 번째 이미지의 설정은 CloudFront → S3 원본으로 갈 때 HTTP로만 통신하겠다는 뜻이에요 !사용자 브라우저랑은 아무 상관 없는 옵션이고, 오직 CloudFront와 원본(S3) 사이의 프로토콜만 결정해요 ! 두 번째 이미지의 설정은 사용자 → CloudFront 구간에 대한 설정이이에요 !사용자가 HTTP로 접속하면 자동으로 HTTPS로 리다이렉트를 하고, 사용자가 HTTPS로 접속하면 그대로 HTTPS로 연결해요 !즉, HTTP와 HTTPS 둘 다 허용하되, HTTP 요청은 무조건 HTTPS로 전환하겠다는 의미에요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항상 HTTPS로 안전하게 연결되게 돼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7
Q&A
Postman으로 응답받은 부분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Postman으로 요청을 보내는 게 첫 번째 사진에서 '사용자 -> EC2',그리고 2번째 사진인 Postman으로부터 받은 응답은 'EC2 -> 사용자' 맞죠?"-> 네 맞아요 ! 정확히 이해하셨어요 ! 헷갈리지 않으셨고, 완벽하게 이해하고 계세요 :)추가로 조금 더 자세하게 정리해 드려볼게요 ! 1단계: 사용자 → EC2 (이미지 업로드 요청)- Postman에서 POST localhost:80/upload로 이미지 파일 전송 !- 첫 번째 사진에서의 '사용자 → EC2' 가 맞아요 :) 2단계: EC2 → S3 (이미지 저장)- EC2 서버가 받은 이미지를 S3에 업로드 !- S3는 저장 완료 후 해당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는 URL을 EC2에 반환 ! 3단계: EC2 → 사용자 (응답 반환)- EC2가 S3로부터 받은 URL과 기타 정보를 가공해서 JSON 형태로 응답 !- 두 번째 사진의 응답 내용이 맞아요:)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7
Q&A
RAM & 스왑메모리 폭증하는 문제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질문 너무 잘해주셨어요 ~정말 꼼꼼하게 문제를 분석하고 다양한 시도를 해보셨네요! 보내주신 내용들을 토대로 디버깅 도와드려볼게요 ! "혹시 제 deploy.yml이나 docker-compose.yml 에 문제가 있나요? 메모리 80% 이상 차지하는게 전부 Docker 관련 프로세스여서요."-> 우선 platform 불일치 문제가 가장 크게 의심스러워서 먼저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docker-compose.yml에서 platform: linux/arm64, deploy.yml에서는 platforms: linux/amd64를 사용하셔서 GitHib Actions에서는 amd64 이미지로 빌드를 하고 있어요 !이런 경우 Docker에서는 arm64용 이미지를 찾기 위해 '조회 및 재시도 반복, 이미지 변환 시도' 등과 같은 불필요한 무거운 작업을 하며 메모리를 과도하게 사용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요 !즉, “amd64로 빌드해놓고 compose에선 arm64로 돌리겠다” 라는 건 확실히 꼬일 수 있는 지점이에요 ! docker-compose.yml에서 linux/arm64를 linux/amd64로 변경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또한 현재 SCP 방식으로 해결하신 부분 너무 현명한 선택이셨어요 ! 충분히 좋은 선택이시니, 개발 완료 후 천천히 최적화를 진행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혹시 위 내용 시도해 보시고 막히는 부분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늘 파이팅입니다 !! 💪
- 0
- 2
- 45
Q&A
스프링부트에 엘라스틱서치 연결하기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이전에 만든 프로젝트에 application.yml을 그냥 붙여넣으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해당 프로젝트는 새로 생성해서만드는건가요?"-> 해당 강의의 프로젝트는 이전 실습을 진행하며 만든 프로젝트의 application.yml 파일 중spring.elasticsearch 부분만 수정하시면 됩니다 :)추기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4
Q&A
elb 강의듣던중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 "혹시 백엔드도 ngnix 랑 https 연결을해야하나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ELB를 사용하신다면 백엔드에 별도로 nginx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요 !ELB에 SSL/TLS(HTTPS)를 적용시키면 사용자와 ELB 사이의 통신이 암호화되고, ELB에서 백엔드로 가는 통신은 HTTP로 처리돼요 ~백엔드 서버에는 애플리케이션만 실행시키면 되고, HTTPS 관련 설정은 모두 ELB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백엔드에서 따로 신경쓰실 필요가 없어요!추기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0
Q&A
ELB HTTPS 인증서 연결 후 EC2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안녕하세요 수인님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 "ELB로 도메인에 인증서 연결 후 EC2 인스턴스의 경우 여전히 IP로 접근이 가능한데, HTTP로 접근이 가능하기도하고… 혹시 어떻게 처리하나요?"-> 말씀 하신 문제는 보안그룹 설정을 통해 처리할수 있어요 !EC2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을 수정해서 ELB로부터의 트래픽만 허용하도록 설정하시면 돼요 !보안그룹을 타이트하게 설정하는 방법은 입문 강의에서 다루지 않고중급 강의에서 다루고 있다보니말씀해주신 대로 처리하고 싶으신 경우 아래 링크를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developer501/222686158253이렇게 하면 사용자들은 오직 ELB를 통해서만 백엔드에 접근할 수 있고, EC2 IP로 직접 접근하는 건 차단될 거에요 :) 추기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30
Q&A
https는 백엔드에도 적용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 "https는 백엔드에도 적용해야하나요? 프론트엔드만 설정하면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백엔드에도 HTTPS를 적용하시는 걸 권장드려요 !프론트엔드만 HTTPS로 설정하고 백엔드는 HTTP로 두게 되면, CORS과 Mixed Content같은 보안 정책에 의해 요청이 차단돼요 ! 무엇보다 프론트와 백엔드 간 통신 구간에서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아 보안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어요 :)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주세요 ~
- 0
- 2
- 30
Q&A
7-42. 역정규화 섹션에 나온 참고글 링크
안녕하세요 한귤님! 제보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확인해보니 기존 링크가 다른 링크로 바뀐 것 같네요!바뀐 링크로 다시 정정해뒀습니다! 감사합니다:D https://medium.com/@innerbit/when-and-how-you-should-denormalize-a-relational-database-75047344ebac
- 0
- 2
-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