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s]
Youtube 바로가기
LinkedIn 바로가기
[Career]
現) JSCODE - 대표 멘토, CEO
前) (주)트라이포드랩 - CTO
前) (주)온리원유니버스 - CTO
前) 달리(DALY) - CTO
前) 팀메이트(Teammate) - CEO
[Books]
『Do it! JSCODE의 AWS 입문』, 이지스퍼블리싱 (2025.05)
[ETC]
- 기업 대상 개발 컨설팅 및 코딩 교육 활동
Courses
Reviews
- Kubernetes Introduction/Practice for Non-Majors to Understand
- AWS Introduction/Practical Guide That Even Non-Majors Can Understand
- Docker Getting Started/Practical Guide That Even Non-Majors Can Understand
- Docker Getting Started/Practical Guide That Even Non-Majors Can Understand
- MSA Introduction/Practice for Non-CS Majors (feat. Spring Boot)
Posts
Q&A
프론트엔드도 도커 + nginx 기반 배포 추가 강의 가능하실까요
안녕하세요 ansgh4300님! 질문 잘 해주셨어요~~ 현재 강의에서 섹션 5 부분에서 Next.js를 배포하는 방법이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풀스택(Next.js 또는 React.js + springboot + mysql)의 구성으로 배포해보실 수 있을겁니다! 혹시 배포하시다가 막히시거나 잘 안 되시면 질문 남겨주세요:D
- 0
- 2
- 19
Q&A
29 프라이빗 서브넷 접속시 오류문제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첨부해주신 이미지들을 보니 현재 프라이빗 서브넷의 EC2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해 퍼블릭 EC2 인스턴스(web-server)로 SSH 접속을 시도하셨지만 실패하고, 대신 AWS 웹 콘솔(브라우저)에서는 접속이 가능한 상황이에요 ~즉, 해당 퍼블릭 인스턴스가 외부 SSH 접근은 막혀있고, 브라우저 접속만 가능한 상태에요!현재 프라이빗 서브넷 접속 뿐만 아니라 퍼블릭 인스턴스 자체에 접근이 안되는 이유(원인)는 다양하다보니 여러 가지를 확인해봐야해요~ 따라서 아래 부분들을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려요 ![1] 보안 그룹(Security Group) : SSH(22번 포트)가 열려 있는지[2] VPC/Subnet : 해당 인스턴스가 퍼블릭 서브넷에 위치하는지[3] 퍼블릭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라우팅 되어 있는지[4] 인터넷 게이트웨이 : VPC에 연결되어 있는지 위 부분들을 하나씩 점검해보시면 SSH가 안 되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실 수 있을 거예요!"16. [실습] VPC 생성하기 "강의 부터 LIZ.B님께서 설정하신 값들을 비교해보시면 점검하시기 편하실꺼에요:)혹시 원인 파악이 안되신다면 보안 그룹 규칙, 서브넷 설정, VPC 설정, 인터넷 게이트 웨이 및 라우팅 테이블 설정 화면 캡쳐들과 함께 추가 질문남겨주세요 😄
- 0
- 3
- 27
Q&A
데브옵스로 전향하고자하는 백엔드 개발자인데..
안녕하세요 sh hyeogi365님! 질문 잘 해주셨어요~~회사마다 요구하는 역량이 조금씩 다 다릅니다!그러다보니 sh hyeogi365님이 가시고 싶은 회사 여러 군데의채용 공고를 확인하셔서 자격 요건과 우대 사항에 적혀있는필요한 역량을 한 번 체크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제가 최근에 Devops 채용 공고를 봤을 때는 도커, 쿠버네티스, CI/CD 이외에도다양한 역량을 필요로 했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리소 저연차에서도 Devops로 전향하시는 분을 가끔 보기도 했었어요.하지만, Devops도 생각보다 깊이가 있는 분야라해당 분야의 내용을 백엔드 개발자만큼 깊이 이게 많이 공부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한 번 찾아보시고 궁금한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ㅎㅎ
- 0
- 2
- 42
Q&A
code deploy 배포입니다.
안녕하세요 뒤안길님! 해결하셨다니 다행이네요:)또 학습하시다가 막히시는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 0
- 3
- 20
Q&A
사용자 삭제가 안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뒤안길님!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 보통 AWS IAM에서 사용자가 삭제 안 되는 경우는 “하위에 연결된 리소스(액세스 키, MFA 등)”가 남아 있어서 그런 경우가 많아요 !두번 째 이미지를 보니 권한 정책은 없지만 오른쪽에 보니 Inactive 상태이지만 아직 엑세스키가 존재하는것 같네요 !IAM → 사용자 → 보안 자격 증명 탭으로 이동하신 뒤,등록된 엑세스 키를 삭제하시면 '사용자 삭제'가 될거에요 ~엑세스키를 삭제하셔도 여전히 '사용자 삭제'가 안되시는 경우 추가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26
Q&A
nginx로 설정 시 elb의 필요성?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꼭 필수적으로 elb를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닌거죠..?"-> 네 맞아요 ! ELB가 꼭 필수는 아니에요 ~Route53에서 도메인을 바로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로 연결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해요!단일 서버로 운영한다면 Route53 → EC2 (nginx) 이렇게 직접 연결해도 전혀 문제없어요 !nginx에서 정적 파일 서빙, 리버스 프록시, HTTPS 모두 잘 처리할 수 있어요 :) ELB는 아래와 같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시면 되시구 필수 사항은 아니에요 ![1] 서버가 여러 대여서 로드밸런싱이 필요한 경우[2] 오토 스케일링을 사용 할때[3] SSL 인증서를 ELB에서 관리하고 싶을 때[4] 헬스체크 기능이 필요할 때 "아키텍쳐를 그릴 때 route53은 꼭 표현하지 않아도 괜찮은지도 궁금합니다!"-> 우선 결론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 단순화가 목적인 경우 생략해도 괜찮아요 ~다만, 아키텍처를 명확히 보여주고 싶은 경우에는 route53도 표현하시면 더 완성도 높은 다이어그램이 되죠:)발표용이나 간단한 문서라면 생략해도 괜찮지만, 운영 설계 문서라면 넣는 걸 추천드려요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25
Q&A
팀원들의 참여가 저조한 팀 프로젝트는 이력서에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다보님! 질문 너무 잘해주셨어요~!채용담당자 입장에서 답변 드려볼게요!우선 결론적으로 2번 개인 프로젝트처럼 구성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 [1] 기술 역량 어필에 집중말씀하신 대로 개발 실력이 가장 중요해요 !실제로 90% 이상을 담당하셨다면 개인 프로젝트처럼 구성하시는 게 본인의 기술적 기여도를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어요 ! [2] 명확한 성과 표현개인 프로젝트처럼 구성하사면 "고가용성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 마이그레이션" 등 본인이 실제로 수행한 핵심 업무를 더 명확하게 어필할 수 있어요 ! [3] 협업 문제를 "굳이" 언급할 필요 없음팀원들의 참여 부족이나 협업 어려움을 이력서에 굳이 작성하면 자칫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어요 !또한 혹시 면접에서 팀 프로젝트였는지 질문받으시면 그때 솔직하게 "팀으로 시작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제가 대부분 담당했습니다"라고 말씀하시는걸 추천드려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 😄늘 화이팅입니다 !!
- 0
- 2
- 42
Q&A
k6 테스트 문의
안녕하세요 경용님 !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제가 사이드프로젝트에 30개 api를 하나씩 수기로 테스트를 해야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30개의 API를 하나씩 수기로 테스트하실 필요는 전혀 없어요 ~우선 현업에서는 파레토의 법칙(80:20법칙)을 적용해서 전체 트래픽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API들 위주로 부하테스트를 진행해요 !메인 페이지 조회, 로그인, 자주사용되는 조회,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API 등등 핵심 API만 테스트해도 충분히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또한 k6는 아래와 같이 하나의 스크립트에서 여러 API를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어요 !export default function () { let random = Math.random(); if (random 또한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시나리오별로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할수도 있어요 !아래 공식문서에 여러 사용 예시들이 있으니 경용님의 프로젝트에 테스트해보기 좋은 예시가 있으면 참고해서 사용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꺼에요 !https://grafana.com/docs/k6/latest/using-k6/scenarios/advanced-examples/ 공식문서와 함께 아래 레퍼런스들을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것 같아 같이 첨부해드려요 :)https://mangkyu.tistory.com/420https://devocean.sk.com/blog/techBoardDetail.do?ID=164347https://medium.com/weolbu/%EC%9B%94%EA%B8%89%EC%9F%81%EC%9D%B4%EB%B6%80%EC%9E%90%EB%93%A4%EC%9D%98-%EB%B6%80%ED%95%98%ED%85%8C%EC%8A%A4%ED%8A%B8%EB%A5%BC-%EC%9C%84%ED%95%9C-k6-%EB%8F%84%EC%9E%85%EA%B8%B0-d7c82e7fe65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9
Q&A
꼭 DNS 설정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질문 잘 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꼭 DNS 설정해야 되나요?-> 네 꼭 설정하셔야 해요 !Certbot이 HTTPS 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도메인 소유권을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EC2의 퍼블릭 IP만으로는 Let's Encrypt에서 인증서 발급이 불가능해요 ! "비용 때문에 DNS 연결해야만 할까요?"-> 비용 때문에 꼭 DNS를 유료로 써야 하는 건 아니에요!무료 도메인이나 저렴한 도메인을 사용해도 되고, 심지어 AWS Route 53이 아니라도 가비아, 카페24, Freenom 같은 다른 DNS 서비스 제공업체를 사용하셔도 되요 ~핵심은 내 서버의 퍼블릭 IP와 도메인을 연결해 두는 것이지, 꼭 비용이 드는 서비스만 써야 하는 건 아니에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
- 0
- 2
- 34
Q&A
Secret이 외부 노출을 어떤 식으로 피할 수 있게 하는지
안녕하세요 daehyun님 ! 좋은 의견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강의는 입문/실전용으로 핵심 내용과 주요 실습을 통해 빠르게 체득하여 실무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다보니 말씀해주신 내용까지는 담지 못했었던 것 같네요! 후속 강의가 나오게 된다면 말씀해주신 부분도 같이 포함해서 만들어보겠습니다 !
- 0
- 2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