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on
·
29
0
이번 강의에서 아키텍처 설명과 interface를 활용해 계층 간 의존도를 끊는 방법을 보며 시야가 넓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토비님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기존 코드를 리펙토링할 때, 어떤 기준으로 아키텍처를 선정하는지 궁금합니다.
팀원들의 지식 범위나 프로젝트의 뱡향성, 개발 속도 등 여러 요소 중 어떤 부분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시는지도 듣고 싶습니다.
Answer 2
1
잘 알려진, 그리고 제가 검증해본 기본 아키텍처가 있는데 그 선택지 내에서 함께 일할 팀원들과 이야기해보고 선택하는 편입니다. 가끔은 뭔가 새로운 도전을 해보고 싶어하는 경우도 있고, 어떨 때는 익숙한 아키텍처를 원하기도 하니까요. 저는 개발팀원에게 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만, 아키텍처가 초기에 정하면 절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만들지 않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키텍처 자체도 계속 검증해보고, 느껴보고, 다들 같이 피드백을 하면서 조금씩 바꾸기도 합니다.
아키텍처라는 건 개발팀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어떤 것입니다. 그게 실제 개발을 하면서 드러나기도 하거든요. 그때 너무 경직되어 있으면 변경하기 힘드니, 가능하면 초기엔 변경이 용이한 단순한 것으로 출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백엔드학생님께서 아키텍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질문해 주셨네요.
아키텍처 선택은 프로젝트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 중 하나입니다. 토비님 포함 많은 개발자들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아키텍처를 결정합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입니다:
프로젝트의 규모와 복잡도:
팀원들의 기술 수준 및 경험: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방향:
개발 속도와 일정:
기술 선택의 유연성:
이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설명은 이전에 토비님께서 관련 질문에 답변하신 것이 있어, 이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키텍처는 절대적인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계속 검증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군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