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38,500원
Lee HI
2025-07-111634254안녕하세요, 파이썬 장고를 통해서 웹 서비스를 기획하고자 합니다. 혹시 파이썬 장고에서는 Repository 패턴 사용이 적을까요? 기존에 플러터를 위주로 작업을 하다보니, drf를 Model로 두고, repository, repositoryImpl, useCase 등을 활용하는 패턴을 장고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지금 올리신 모든 강의를 구매하면, 추가로 할인이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인프런에서는 로드맵이라고 해서 있는 것 같아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 해여입니다. 먼저 수강신청해주셔서 감사해요 :) 질문 주신 내용을 한번 살펴볼까요? 한 줄 요약: 장고에서는 Repository 패턴을 "명시적"으로 쓰는 경우가 드물어요! 왜 그럴까요?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답을 알기 위해선 먼저 장고의 설계 철학을 보는 게 좋아요. 장고는 MVT와 아주 강력한 ORM을 갖고 있어요. 이 구조에서는 View가 ORM을 직접 호출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만일 규모가 커지면 Service Layer (UseCase)로 구분하여 View -> Service -> ORM 삼단 구조가 표준 처럼 사용됨 장고의 ORM은 이미 Repository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위에 다시 한번 추상화 계층을 추가하는 것은 오히려 복잡성을 추가할 수 있어요. 또한 이렇게 되면 장고의 빠른 개발이라는 철학과 특징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겠죠? 물론 플러터에서 UseCase와 Repositroy로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접근 로직을 분리한 것과 같은 접근법은 매우 좋은 접근법이에요. 이러한 방식을 장고에서 적용하기 위해 Service Layer 패턴을 사용하는 추세도 요새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추가 지식! : 레포지토리 패턴을 사용해야하는 상황이 장고에서는 언제 발생할까요? 바로 - 여러 데이터 소스를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다뤄야할 때 - CQRS 구성이 필요할 때 - 혹은 매우 복잡한데 심지어 많이 바뀌는 비즈니스 규칙을 다룰 때 에요. 하지만 역시 주의할 점은 디자인 패턴 적용 자체가 목적이 되면 안된다는 점이랍니다 :) ---------------------------------------------- 수강생 여러분의 실력 향상을 위해 큰 그림의 로드맵을 그리며 강좌를 디자인하고 있습니다! 하여 다른 강의를 수강할 때 함께 시너지가 날 것이라는 생각은 하였지만 말씀주신 것 처럼 프로모션을 제공해드리는 것은 제가 생각하지 못했었네요 :) 인프런 기능을 확인해보니 추가 할인 기능은 없는 듯 하여, 2개 이상의 강의를 수강신청하신 후 haeyeo.open@gmail.com으로 수강 신청하신 닉네임과 쿠폰 발급을 원하는 강의를 말씀주시면 50% 쿠폰을 발급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