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
BEST
하드웨어임베디드 · IoT

PCB HW설계 실무 :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대시보드

(5)
66개의 수강평 ∙ 293명의 수강생
269,500원

월 53,900원

5개월 할부 시
총 76개 수업 (15시간 18분)
수강기한: 
무제한
수료증: 발급
난이도: 
입문
-
초급
-
중급이상
지식공유자 답변이 제공되는 강의입니다
폴더에 추가공유
  • 97changmin 프로필97changmin
    2025-09-051673444

    혹시 강의를 통해 설계한 GERBER으로 실물 PCB를 받아볼수도있나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9-05439733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말씀해주신 PCB HW설계 실무 강의에서는 실제로 회로도 작성부터 부품 선택, 전원 예산 계산, MCU 및 주변 칩 설계, 그리고 최종적으로 레이아웃까지 전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을 보시면 마지막 단계에서 3D 뷰 확인과 함께 BOM 및 Gerber 파일 추출 과정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를 따라가시면 직접 Gerber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PCB 제작 업체에 그대로 전달 가능한 표준 데이터 형식입니다. 다만, 강의에서 제공되는 것은 설계 및 데이터 추출까지의 과정이지, 실제 PCB 제작 발주(즉, 외주 제작)까지 가이드를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실물 PCB를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JLCPCB, PCBWay, 유니텍과 같은 국내외 PCB 제작 업체에 Gerber 파일을 제출하여 제작을 의뢰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강의에서 뽑은 Gerber 파일을 ZIP으로 압축 후 업체 웹사이트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가격 산정 및 제작 옵션(두께, 레이어 수, 표면 처리, 납땜 레벨 등)을 선택할 수 있고, 보통 1~2주 내에 실물 PCB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즉, 강의 자체만으로는 설계와 Gerber 추출까지 완성할 수 있고, 외주 제작은 별도로 업체를 선택하여 진행하셔야 합니다. 이 부분만 직접 진행하시면 충분히 실물 PCB 제작이 가능합니다.

  • FPGA Engineer 프로필FPGA Engineer
    2025-08-311670550

    배워볼까 준비중인데... 이과목을 배울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stm32가 들어가있는 보드를 사야 하나요? orcad 가 컴퓨터에 깔아야 하나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8-31438676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우선, 강의 커리큘럼을 보면 STM32F103과 STM32F407 MCU의 데이터시트 분석, 회로도 설계, 부품 선택, 전력 예산(Power Budget) 계산, Mixed-signal 보드 레이아웃까지 전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이 아니라, 실제 툴을 다루고 설계 산출물(Gerber, BOM 등)을 만드는 훈련이 포함됩니다. 먼저 STM32 보드를 꼭 구매해야 하는지는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강의의 핵심은 MCU를 직접 코딩하기보다는, MCU를 포함한 보드를 설계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즉, Nucleo 보드나 Discovery 보드 같은 개발보드를 구매하면 실습 시 참고하기에는 유용하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오히려 데이터시트와 Reference Manual을 보면서 핀맵핑, 전원 설계, 디버깅 인터페이스 설계 등을 진행하는 것이 주요 학습 포인트입니다. (필수X) 또한 KiCAD를 활용하여 진행합니다. Orcad는 유료화가 되어서, 현업에서 쓰면서도 무료툴인 KiCAD로 강의 내에서 MCU schematic 설계, PHY칩 schematic 설계, Motor Driver/ADC/DAC 설계, 레이아웃 설계 등 전 과정을 직접 툴에서 작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KiCAD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Power Budget을 작성하고 이를 반영한 Schematic을 만든 뒤, PCB로 옮기고 레이아웃 시 Return Path, Analog/Digital GND 분리 같은 Mixed-signal 설계 규칙을 적용하는 부분은 실제 툴 없이는 학습 효과가 떨어집니다. 또 궁금한 점 있다면 편하게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착한 날다람쥐 프로필착한 날다람쥐
    2025-07-101633988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수료증을 어떤 대외활동 증명서로 제출하여 인정된다는 말씀이신 건가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7-10428122

    네 맞습니다! 사실 수료증 자체가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고(수료증은 기관이 아닌 개인이 발급할 수도 있으므로) 어떤 내용을 다뤘는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수료증을 말씀하신것처럼 활용하시되, 어떻게 어필할지에 대해 집중하시는것이 중요할겁니다.

  • 착한 날다람쥐 프로필착한 날다람쥐
    2025-07-101633974

    혹시 수료증은 나중에 입사나 그럴 때 사용처가 될 수 있나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7-10428116

    네 물론입니다. 이번에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 방산기업에 취업하신 수강생분들도 이번에 들었던 강의에 대해서 수료증을 활용하셨고, 실제로 면접볼 때 강의 내용이 아래와 같이 활용되었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삼코치님, 3년 전쯤에 삼코치님의 회로 라이브 수업을 수강했고, 최근 인프런 PCB강의를 수강한 OOO 학생입니다. 이번에 삼성전자 MX부분 회로개발, 한화시스템 하드웨어 직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하드웨어 직무에 합격을 하여 감사인사를 드리고 싶어서 연락드립니다 ㅎㅎ 기억하실지 모르겠네요 ㅋㅋ 코멘토/렛유인에서 OP-AMP 설계, Flash ADC 설계 수업 및 라이브 세션에 참여했었습니다. 그리고 삼코치님과 상담하며 진로를 고민하다가, 결국 EDA (physical design)관련 대학원에 진학을 했었는데요. 막상 이번년도에 졸업하고 나니, physical design 지식을 써먹을 수 있는 회로설계 직무가 안열려서 정말 고민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박사는 너무 길고 힘들것 같아서 결국 그나마 채용중인 하드웨어 쪽으로 여러 회사에 지원을 했습니다. 제 최종학력이 OOO 석사라 서류 정도는 쉽게 뚫었지만, 문제는 PCB 하드웨어 설계쪽에 아무것도 아는게 없어서 면접이 걱정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삼코치님이 열어주신 인프런의 STM32 MCU PCB 설계 강의가 정말 진짜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덕분에 면접관들과 실무적인 대화가 잘 통했고, 특히 제 칩레벨 설계 연구와 PCB 설계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설명한 것이 면접관들에게 많은 어필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한화시스템 면접볼때는 면접관분께서 "PCB 설계에 관해서 어떻게 이런것까지 알고있냐" 라고 하시며 제 답변에 감탄하셨습니다. 좀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삼코치님의 PCB 강의중에 모터드라이버가 고전류 블록이기 때문에, via를 크게 만들고, 히트싱크를 배치하거나 다른 블록들과 이격시켜야 한다 이런 내용을 알려주신 적이 있었는데, 면접관분께서 "방산 하드웨어 특성상 하드웨어가 발열이 높거나, 고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많은데, 설계를 어떻게 해야하냐?" 이렇게 바로 물어보셨습니다. 그래서 그대로 답변했고, 크게 어필이 된것 같습니다 ㅎㅎ 삼성도 크게 기대는 안했는데, 말씀드렸듯 제 연구와 세트제품 개발을 잘 연관지은게 가산점이 되지 않았나 싶네요 ㅎㅎ 그래서 결론적으로 대학원 입시에도, 취직을 할때도 삼코치님께 크게 은혜를 입은것 같아서, 꼭 한번 감사인사 드리고 싶었습니다. 앞으로도 하시는 회로설계 관련 강의들 다 잘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활용에 대해서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수강하시면서 질문주셔도 좋습니다 :)

  • 착한 날다람쥐 프로필착한 날다람쥐
    2025-07-101633612

    혹시 기기 제한이나 동시 수강에 대한 제한이나 유의사항이 있을까요? 좀 다양한 환경의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이라 문의드립니다!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7-10428085

    안녕하세요! 해당 내용에 대해서 제가 알고있는 인프런 정책에 대해서 답변 남겨드리겠습니다. 결론적으로는 3개 제한이 있다고 합니다. 기기 등록 제한 인프런은 한 계정당 최대 3대의 기기까지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 가능한 기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등 모든 기기를 포함하며, 기기를 교체할 경우 자동으로 등록 정보가 갱신되므로 별도의 초기화 절차 없이 계속 수강할 수 있습니다. 동시 접속 제한 인프런은 동시 접속을 엄격하게 제한합니다. 학습 페이지는 한 번에 한 기기에서만 접속할 수 있으며, 다른 기기에서 동시에 접속하면 먼저 접속한 기기에서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어 학습이 제한됩니다. 계정 공유 및 법적 제재 인프런은 계정 공유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용약관 제24조에 따라 부정 이용이 감지되면 계정 차단 조치가 가능하며, 접속 충돌이 여러 번 발생할 경우 계정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사용 가능성 지원 플랫폼 * 웹 브라우저: 모든 운영체제에서 수강 가능 * 모바일 앱: iOS 및 Android 앱 제공 * 웹앱(PWA): 모바일 웹앱으로도 이용 가능 IP 변경 관련 수강 위치가 자주 바뀌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집, 학원, 회사 등 다양한 장소에서 수강하는 것은 허용됩니다. IP 변경만으로 제재를 받지는 않습니다. 기기 교체 시 유의사항 기기 교체 시 자동으로 등록 정보가 갱신되며 별도 절차는 필요 없습니다. 단, 동시 접속은 제한되므로 새로운 기기에서 접속하면 이전 기기에서는 자동으로 로그아웃됩니다. 권장 사항 1. 최대 3대 이하의 기기로만 수강 2. 한 번에 한 기기에서만 학습 3. 기기 교체 시 자동 갱신 기능 활용 4. 계정은 반드시 개인만 사용하며 공유 금지

  • 김동윤 프로필김동윤
    2025-06-301625050

    안녕하세요 삼코치님, 반도체 디지털 설계로 취직하려 digital SOC 설계강의를 듣다가, 현재 반도체 부품을 영엄하는 회시에 SE(Sale engineer)로 취직한지 1개월차 신입입니다. 본 강의를 들으면 반도체의 datasheet를 보며 공부중에 어떤 부품이 개발에 필요한지 등을 알고 부품을 영업하려면 재품에 어떤 부분에 장점을 설명하는 알고 영업을 할 수 있을까 해서 문의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6-30425707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현재 수강을 고려 중인 “PCB HW 설계 실무: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강의는, 단순한 전자회로 설계 교육을 넘어서, 반도체 부품 기술영업 직무를 수행하는 Sales Engineer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설계 관점의 제품 해석력과 설계자 중심 사고방식을 훈련할 수 있는 실무형 커리큘럼입니다. 제품의 기능이나 스펙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고객의 신뢰를 얻기 어려운 시대에, 고객의 실제 설계 흐름 안에서 자사 제품이 왜 설계적으로 적합한 선택인지를 기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은 기술영업 직무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 됩니다. 현장에서 회로 설계자들이 부품을 선택할 때는 단순한 스펙 비교가 아닌, 시스템 내 역할, 회로 안정성, 인터페이스 호환성, 보호 소자 구성, 전력 소모, EMC 대응 가능성 등 수많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이때 SE는 datasheet 수치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설계 요건 안에서 자사 제품이 어떤 설계 편의성과 시스템적 강점을 제공하는가”를 구체적이고 기술적인 언어로 전달해야 합니다. 이 강의는 바로 그러한 기술 기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이 강의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보드를 처음부터 끝까지 개발하는 흐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원 흐름 및 신호 흐름 구조를 파악하는 System-level 이해를 시작으로, Requirement Sheet 분석, 부품 선택, schematic 설계, block diagram 작성, power budget 수립, 레이아웃 설계 및 GND 분리 전략까지 실제 산업 설계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단지 회로를 그려보는 것이 아니라, 설계자가 어떤 기준으로 부품을 선택하고, 왜 특정 조건을 우선 고려하는지, 그리고 회로 전체에서 부품이 어떻게 기능적으로 연결되는지를 시스템 관점에서 파악하게 해주는 구조입니다. 특히 Sales Engineer 입장에서 주의 깊게 봐야 할 파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Requirement Sheet 분석 파트에서는 단순한 제품 기능이 아닌, 시스템 요구 조건(System Requirement)이 어떻게 전기적 사양으로 환원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설계자가 부품을 어떤 방식으로 필터링하고 선정하는지를 정확히 해석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Motor Driver IC를 고를 때 단순히 출력 전류 수치만이 아니라, MCU와의 인터페이스 호환 여부, 로직 입력 전압 조건, 보호 회로 내장 여부, Slew rate와 EMI 대응 성능까지도 함께 고려되는 과정을 학습하게 됩니다. 둘째, 부품별 schematic 설계 파트에서는 실제로 datasheet를 어떤 방식으로 읽고, 외부 소자 구성은 어떻게 판단하며, 보호 회로나 bypass capacitor는 어떤 조건에서 필수적으로 삽입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PHY 칩을 설계할 때, 내부 Transformer의 유무에 따라 Magnetic 모듈을 따로 배치해야 하거나, Ferrite Bead와 TVS 다이오드 구성이 달라지는 설계 전략은, 제품 제안 시 고객의 EMC 대응 이슈에 대해 기술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논리로 전환됩니다. 셋째, 레이아웃 파트에서는 단순한 배선 이상의 전략적 판단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GND 분리, Return Path 설계, 고속신호 라우팅, 전원 공급의 decoupling 전략 등은 실제 제품의 안정성과 직결되는 영역으로, Sales Engineer가 제품 제안 시 단지 “작고 빠른 칩입니다”가 아니라, “레이아웃 상에서 Differential Pair 처리를 위한 pin-to-pin 간격이 최적화되어 있어 보드 설계 시 오류 가능성이 낮고, Ferrite Bead 구성에 있어서도 EMI 대응에 유리한 구조입니다”라고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학습 내용을 업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강의를 수동적으로 시청하기보다, 다음과 같은 실습 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째, 자사 주요 제품을 하나 선정하여, 강의에서 등장하는 유사 부품과 직접 비교해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자사에서 제공하는 SPI 기반 ADC가 있다면, 강의에서 사용하는 ADC와 pin 구성, 통신 인터페이스, 전원 조건, reference voltage 제공 여부 등을 항목별로 비교 정리해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 설명 시 고객의 설계 흐름에 맞춘 기술적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둘째, 고객 산업군 기반의 요구 조건을 가상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제품 포지셔닝 훈련을 진행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컨대 산업용 제어 시스템, 자동차 ECU, 의료용 데이터 수집기 등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해당 산업군에서 요구되는 EMI 성능, 온도 특성, 전원 안정성, 통신 신뢰성 등의 요소에 맞춰 자사 제품의 특성을 정리해보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기존의 ‘제품 중심 설명’이 아닌 ‘고객 요구 조건 중심 제안’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셋째, 강의에서 제공되는 block diagram을 참조하여, 자사 제품이 어떤 블록에 위치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지점에서 설계자가 어떤 고민을 갖고 있을지를 역으로 유추해보는 실습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block diagram 상 ADC 블록에 자사 제품이 들어간다고 하면, 그 위치에서 설계자가 신경 쓰는 항목은 sampling rate보다도 전원 noise 대응, reference voltage 안정성, SPI 통신 호환성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회로상의 위치에 따른 설계자의 기술 고민을 유추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자사 제품의 장점으로 연결하는 연습은 기술영업에 있어 매우 핵심적인 훈련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강의는 Sales Engineer가 단순한 제품 설명자에서 벗어나, 설계 환경과 시스템 조건을 함께 고려하는 ‘기술적 파트너’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사고 전환과 실무 능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고객의 언어로 소통하고, 설계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시스템 구조 속에서 자사 제품의 기술적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인재가 되기 위한 실전 훈련 과정으로서, 이 강의는 매우 높은 실효성을 갖는 콘텐츠입니다. 수강 이후에는 제품별 기술 제안서 구성, 산업별 설계 대응 프레임워크 설계, 고객사 요구사항 기반 Value Proposition 도출 등의 업무에 실질적으로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sha0818 프로필sha0818
    2025-06-061609917

    안녕하세요 삼코치님. 유튜브로만 뵙다 수강에 결심이 생겨 문의드립니다. 사실 저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개발로 석사연구를 진행중인데, 센서로 들어온 신호를 증폭기로 증폭 시킨 후 ble로 pc나 스마트폰에 보내는 기능을 위한 pcb 설계가 필요하여 강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전공은 전자과여서 이전에 회로이론, 전자회로 등등의 기초정도는 기억을 하는 수준인데, 강의를 들으면서 부족한 부분이 있을경우 따라가는게 맞는지, 아예 첨부터 기초를 잡고 강의에 접근하는게 좋은지 여쭤봅니다. 또한, 방산hw(pcb 하드웨어 설계쪽에 관심이 있습니다) 직무에도 제가 많은 관심이 있는데, 해당 강의 뿐만 아니라 삼코치님 강의 중 다른 강의 중 어떤것을 듣는게 좋은지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6-06420341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과정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을 진행 중이시고, BLE 통신 및 센서 신호 처리를 위한 PCB 설계를 직접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PCB HW설계 실무: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강의는 실무에 바로 연결되는 매우 실질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습니다. 먼저, 전자과 전공자로서 회로이론, 전자회로 등의 기초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고 이를 어느 정도 기억하고 계신다면, 해당 강의를 따라가는 데 기본적인 이론 배경은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강의는 실습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개별 회로 동작 원리를 깊게 파고드는 기초 이론 강의는 아니지만, 실무 설계에서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전압/전류 동작, 그라운드 설계, 인터페이스 핀 구성, 파워버짓 등은 단계적으로 실제 예제를 통해 반복적으로 설명합니다. 따라서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해당 강의의 내용을 따라가며 병행 학습하셔도 충분히 습득 가능하며, 설계 흐름을 익히는 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또한 방산 분야의 PCB 하드웨어 설계 직무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 강의는 단순한 MCU 주변 회로 구현 수준을 넘어서, 실제 Analog-Digital 혼합 신호 회로, Ethernet PHY, ADC, DAC, Motor Driver, Charge Pump 등 다양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고신뢰성 회로를 직접 설계·배치·레이아웃·거버 추출까지 완료하는 흐름을 담고 있어 매우 적합합니다. 방산 직무는 신뢰성과 정합성을 특히 중시하기 때문에, 이 강의의 레이아웃 가이드라인과 grounding rule, return path 개념 등은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방산 회로설계 직무에 대비하기 위해 다른 보완 강의를 듣고 싶으시다면, ‘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강의가 기초 디지털 설계 및 시스템 수준의 시야를 키우는 데 보완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방산쪽에서 FPGA 설계과 주변 HW설계도 다루기 때문에 이를 설계함에 있어서 디지털 회로에 대한 실무를 이해하고 있다면 수행할 수 있는 일이 더욱 많아집니다. 결론적으로, 지금과 같이 실제 설계를 요구받는 상황에서는 기초부터 별도로 정리하기보다는 실습 중심의 흐름을 타고 설계 과정을 따라가면서 부족한 개념을 병행적으로 보완하는 접근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웨어러블 및 방산 회로설계 진입 모두에 강의가 효과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으므로, 수강을 추천드립니다.

  • 조재원 프로필조재원
    2025-05-301605101

    안녕하세요 STM32를 이용해서 초저전력 설계에 많은 관심이 있는데 워낙아는게 없어서 배우려고 여기까지 왔습니다. 해당 내용 수강하면 STM32WLE5CCU6 이 칩을 이용하여 PCB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는 배울 수 있나요? 너무 궁금해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5-30418937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말씀해주신것처럼 STM32를 활용하서 PCB 거버파일(PCB 제작 의뢰 시, 전달하는 파일)까지 제작하는 과정이며, 우리가 직접 외주요청을 해서 PCB 보드를 찍어서 납땝을 해보지는 못하겠지만, 그 전 단계까지는 100% Full-cover 한다고 보시면 되곘습니다. 또한 초저전력 설계를 시스템 레벨에서 구현하는 방법은 다양한 접근이 가능할텐데, 일단 기본적인 시스템 설계를 이해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나씩 개선해보는 식으로 접근하면 좋겠네요. 네이버 카페를 통해 과제 질문 및 말씀하신 초저전력 시스템 레벨 설계를 도와드릴 수 있으니 수강하시게 된다면 적극적으로 카페를 활용해서 질문주시기 바랍니다. 또 궁금한 내용 있다면 질문주세요!

  • 김기연 프로필김기연
    2025-04-271577276

    아앗.. 앞에 작성했던 질문에 엄청 구체적으로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수지식으로 회로이론이랑 디지털회로 등이 있던데 관련 교재를 훓어보고 강의를 듣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강의를 수강하다가 모르는게 있으면 그때그때 찾아보는걸 추천하시나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4-27412321

    네, 강의를 바로 수강하면서 모르는 부분이 생길 때마다 그때그때 찾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PCB HW 설계 강의는 실제 보드를 완성하는 흐름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처음부터 이론을 다 이해하려고 하면 오히려 전체 과정을 파악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설계 과정에서는 **모든 이론을 미리 알고 시작하는 것보다**, 필요할 때마다 찾아보고 적용하는 능력이 훨씬 중요합니다. 실제 실무에서도 '필요할 때 빠르게 학습하고 적용'하는 방식이 기본입니다. - 특히 초반에는 완주(끝까지 흐름을 따라가는 것) 자체가 가장 중요합니다. 모르는 부분이 나와도 일단 넘어가면서 전체 과정을 보는 데 집중해 주세요. 그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필요한 개념이 선명해지고, 학습 효율도 훨씬 높아집니다. 정리하면, - 먼저 강의를 빠르게 완주하고, - 모르는 개념은 그때그때 짧게 검색하거나 참고하면서, - 반복 복습과 과제를 통해 점진적으로 이해를 깊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김기연 프로필김기연
    2025-04-271577196

    전부 수강하기까지 기간을 어느정도로 목표를 잡고 수강하면 될까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4-27412268

    HW 설계가 처음이라면, 처음에는 ‘완주’를 목표로 하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이해가 안 돼도 멈추지 말고, 끝까지 흐름을 파악하는 데 집중하세요. PCB 설계는 전체 과정을 지도처럼 머릿속에 그리는 게 먼저입니다. 추천하는 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회차: 빠르게 완주 (속도 중심) - 2회차: 복습하면서 이해 (과제 수행 포함) 수강 기간은 이렇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 처음 한 번은 빠르게 쭉 듣고 (듣기만 하는건 1주 안에 가능), - 그리고 과제와 함께 하게 된다면 1주차 Orientation (18분) 듣기 → PCB HW 설계 전체 흐름 잡기 섹션 2 (System-level 이해) 전부 수강 (1시간 34분) 과제 1 수행 (Power & Signal Flow 작성) ✅ 목표: PCB HW 설계가 어떤 과정인지 큰 그림을 이해하고, 시스템 흐름 직접 그려보기 2주차 섹션 3 (Requirement Sheet 분석 + 부품 선택) 전부 수강 (2시간 23분) 과제 2 수행 (IC Device Study + Block Diagram 작성) ✅ 목표: 데이터시트 읽는 법 배우고, Block Diagram 직접 그려보기 3주차 섹션 4 (Power Budget & MCU 설계) 전부 수강 (2시간 21분) 섹션 5 (PHY칩 설계) 전부 수강 (1시간 14분) 과제 3 + 과제 4 수행 (Power Budget 작성, PHY칩 Schematic 그리기) ✅ 목표: MCU 전원 설계 이해하고, PHY칩 실제로 회로 그려보기 4주차 섹션 6 (Motor Driver, ADC, DAC 설계) 전부 수강 (2시간 6분) 섹션 7 (MIC, LDO 설계) 전부 수강 (1시간 50분) 섹션 8 (Mixed-Signal Board Layout) 전부 수강 (2시간 49분) 과제 5 + 과제 6 + 과제 7 수행 (Bulk Capacitor/Power Supply/Return Path/Analog-Digital GND Study + Layout) ✅ 목표: 실질적인 Mixed-Signal 보드 설계 완료 타이트하게는 4주 정도면 되고, 넉넉히 6주~8주 사이 완주를 목표로 잡으면 됩니다. 강의 분량 자체가 16시간 이상이기 때문에, 여기에 과제까지 하면 꽤 시간이 소요됩니다. 짧게 자주 듣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한 번에 몰아서 듣기보다는 매일 짧게 듣고 복습하는 패턴을 추천드립니다. 강의의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Orientation에서 PCB HW 설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 System-level 사고를 배운 뒤, - Requirement Sheet 분석과 부품 선택을 연습합니다. - Power Budget과 MCU Schematic을 설계하고, - PHY칩, Motor Driver, ADC, DAC, MIC, LDO 등 부품들을 하나씩 설계합니다. - 마지막으로 Mixed-Signal Board를 레이아웃하고, - 이 경험을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 준비에 활용하는 방법까지 배우게 됩니다. 결국 목표는, - 첫 번째 완주는 흐름 익히기 - 두 번째 복습은 실전 적용하기 - 이 두 단계를 통해 PCB HW 설계 실력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 김용재 프로필김용재
    2025-04-181571904

    반드시 윈도우 환경이어야만 하나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4-18410640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https://www.kicad.org/download/ KiCAD 자체는 윈도우, 맥, 리눅스 모두 설치 지원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윈도우 환경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제가 툴을 다룰 때, 윈도우 환경에서 시연해드리고 있어서 OS마다 단축키 등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GPT나 구글링하면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부분이라서 문제는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혹시 또 궁금하신 부분 있다면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 엄홍식 프로필엄홍식
    2025-04-161570396

    강의 수강하는데 stm32 board가 필요한가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4-16410200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본 강의를 수강할 때 STM32 Board는 불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STM32 Chip을 활용해서 직접 Board를 설계해보는 HW설계 강의이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STM32 Board가 필요한 강의는 임베디드SW 강의일텐데, 본 강의는 임베디드SW가 아닌 HW설계 강의이므로 이 부분 확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보드를 직접 발주해서 실습해보면 좋겠지만, 그러기에는 제조사나 부품 수급 등 변수가 너무 많아서 본 강의에서는 부품 선정, Schematic 설계, Layout설계, BOM 추출, 3D view 확인, Gerber파일 추출 -> 보드 발주 직전까지 필요한 모든 것을 설계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iamdooly 프로필iamdooly
    2025-04-031561355

    안녕하세요! 수강료가 좀 있는편인데 수강 기한이 왜 있는지요?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2025-04-03407949

    수강 기한은 상세페이지에 안내드린대로 5분 정도의 이벤트 참여를 통해 무제한 연장해드리고 있습니다. 수강 기한을 기본적으로 셋팅해둔 이유는, 기한을 따로 두지 않으면 강의를 구매해두고 수강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조금 더 능동적인 수강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기한을 두었고, 수강을 다 한 뒤에 이벤트에 참여하면 무제한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수강을 유도해드리기 위해서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수강만 잘 하시고 아주 간단한 이벤트에만 참여하시면 무제한 연장됩니다!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