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 해독
도면 제도
기계 공학
인벤터
일반기계기사 합격의 마지막 관문인작업형 시험을 앞둔 수험생들
도면 해독에 필수적인 기계제도 요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분
제품 설계 및 관련 업무에 종사하고자
하시는 분
비전공자로서
제조업으로 커리어를 확장하고자 하시는 분
합격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 '투상 정확도'
기계 실기(작업형) 시험은 결코 단순한 도면 작성 시험이 아닙니다.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모두 3D 모델링과 2D 도면 해석 능력을 동시에 요구하며,
투상을 하지 못하거나, 완성하지 못할 경우 0점 처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도면에서 중요한 요소(척도, 각법, 공차 등)가 틀리거나 누락되면 감점되며, 여러 실수가 누적되면 거의 탈락으로 직결됩니다.
따라서 합격 가능한 실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단순히 3D 모델링을 따라 하는 것을 넘어서 정면·측면·상면 투상의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고 실전 도면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툴은 하나면 충분합니다.
보통 ‘인벤터’라는 3D 설계 툴을 사용하여 치러지며, 실제 시험장에서도 인벤터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벤터 툴 하나만으로 3D와 2D를 같이 준비하면 시간 효율, 실전 적응력, 도면 완성도 측면에서 모두 유리합니다.
3D 캐드툴 따로, 2D 캐드툴 따로 공부하는 방식은 학습시간이 오래 걸리고, 파일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파일 변환 문제로 실격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툴보다 중요한 것
다만, 툴보다 중요한 것은 2D 도면 해석 능력과 투상 개념의 정확한 이해입니다.
시험에 출제되는 대부분의 문제도면은 KS규격, IT공차, 기하공차 이론, 공차 해석, 정투상 원리 등 기초가 철저히 잡혀 있어야만 답안도면을 작성 할 수 있습니다.
CAD 툴은 도구일 뿐이며, 실제 합격을 좌우하는 것은 문제도면을 정확히 해석하고 정면·측면·상면을 정확히 투상하는 능력입니다.
강의 영상만 보면 충분할까요?
요즘은 시중에 다양한 전자책이나 인강이 출시되어 있어,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영상만 본다고 해결되진 않습니다.
영상을 보기만 하면 '이해는 되지만, 막상 실전에서는 손이 안 움직이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영상은 참고자료일 뿐, 스스로 투상을 분석하고 치수를 판단하고, 답안도면을 제도하는 과정에서 막히는 부분을 질문하고 해결하는 경험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본 강의에서는 인강뿐만 아니라, 수강생의 도면을 직접 분석하고 피드백하는 1:1 맞춤형 강의를 제공합니다.
언제든지 1:1 문의를 통해 직접 질문할 수 있으며,
단순 Q&A가 아닌, 도면 첨삭을 통한 투상 오류 분석까지 수험생의 상황에 맞춰 완성도 높은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제도면 분석 → 투상 개념 정리 → 실전 투상 훈련 → 도면 완성 피드백 → 오답 반복 훈련이라는 전체 흐름 속에서,
실제 시험장에서 스스로 도면을 완성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많은 수험생들이 묻습니다. “어떤 강의가 좋아요?”
정답은 간단합니다.
질문이 가능한 강의,
실전에서 실수하지 않도록 반복 훈련이 가능한 강의,
도면 첨삭을 통한 오류 분석 피드백이 가능한 강의,
그것이 바로 실력을 만들어주고 합격으로 이끄는 강의입니다.
처음이라 막막하신가요?
괜찮습니다.
지금 막 시작하시는 분도 한 걸음씩 따라오실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1:1 문의해주세요.
혼자 고민하지 않아도 됩니다.
여러분의 도면제도 능력, 시험 대응력, 그리고 마지막 합격까지 함께 책임지겠습니다.
최신 개정 규격 완벽 반영
본 강의는 2025년 개정한 최신 한국산업인력공단 KS 규격에 맞추어 제작되었습니다.
개정된 도면 표기 기준, 표면거칠기, 기하공차 등 최신 규격을 반영하여 수강생 여러분이 실제 시험장에서 혼란 없이 답안도면을 제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도면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예를 들어, 1각법 및 3각법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주서에 기입되는 의미를 하나하나 짚고 넘어갑니다.
제도에 사용되는 선과 문자, 투상법, 척도, 각법, 템플릿 규격, 단면도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계 관련 용어는 자격증을 준비하는 과정 뿐만 아니라, 산업에 종사함에 있어서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쉽게 헷갈릴 수 있는 용어에 대해 비교 및 설명함으로써 그 의미를 확실 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강철은 왜 단단한지, 주철품은 왜 약한지 등, 기계에 적용되는 요소에 대해 꼼꼼한 설명이 있습니다.
본 강의를 통해 기계 재료에 대한 특성을 이해 할 수 있고, 적절한 재료를 선정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CAD 프로그램은 기능이 많습니다.
단순히 작업 과정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직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수험생들이 프로그램을 빠르게 적응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그 기능을 제대로 사용 할 수 있게 도와드립니다.
도면 해독을 통해, 공단에서 요구하는 규격을 찾아내고 도면 및 3D 모델에 반영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정확한 규격 적용은 작업형 시험에서 고득점을 받을 수 있는 키포인트 입니다.
일반기계기사 작업형 시험을 연습하기 위해선, 교재를 구입하거나, 프린터를 구비하여 용지를 출력해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되며, 용지 출력 시 환경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수험생들의 시간을 아껴드리고자 도면 출력 없이 연습가능한 시스템인 E-Drawing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용지 출력 없이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문제도면의 치수를 측정하면서 시험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도 가능)
아래 사이트에서 E-Drawing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s://smartnumber.dongdongblog.co.kr/2025/02/blog-post.html#google_vignette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일반기계기사 시험을 처음 준비하시는 분들
작업형 시험에서 고득점을 취득하고 싶은 분들
전체
77개 ∙ (13시간 3분)
1. 일반기계기사 실기 시험 OT
05:24
2. 도면의 구성
09:14
3. 시험지분석
03:58
4. 표면 거칠기
07:40
5. 도금 도장
04:33
6. 열처리
03:20
7. 치수공차
06:43
8. 기하공차의 개념
06:06
9. 기하공차 (형상,자세)
09:00
10. 기계 재료
07:45
11. 온라인 도면 시스템
02:45
12. 치수 넣는법
04:13
13. 인벤터 옵션 세팅하기
10:56
14. 인벤터 기초-인터페이스
10:32
15. 인벤터 기초-기본 기능 설명
10:16
16. 인벤터 도면 템플릿 만들기
17:17
17. 도면 출력하기
04:51
18. 동력전달장치E - 도면해독
06:25
19. 동력전달장치E - 3D 하우징
15:03
20. 동력전달장치E - 3D 샤프트
12:08
22. 동력전달장치E - 2D 하우징
24:21
23. 동력전달장치E - 2D 샤프트
21:09
25. 드릴지그A - 도면해독
03:13
26. 드릴지그A - 3D 베이스
05:32
27. 드릴지그A - 2D 가이드
09:07
28. 드릴지그A - 2D 베이스
05:43
29. 드릴지그A - 3D 가이드
08:08
30. 3D 등각도면 (1회차)
05:23
31. 편심왕복장치A - 도면해독
04:34
32. 편심왕복장치A - 3D 하우징
11:16
33. 편심왕복장치A - 3D 샤프트
11:57
34. 편심왕복장치A - 2D 하우징
15:24
35. 편심왕복장치A - 2D 샤프트
21:43
36. 리밍지그A - 도면해독
03:32
37. 리밍지그A - 3D 베이스
05:52
38. 리밍지그A - 3D 서포트
07:18
39. 리밍지그A - 2D 베이스
10:15
40. 리밍지그A - 2D 서포트
10:44
41. 3D 등각도면(2회차)
07:01
월 ₩23,980
5개월 할부 시
₩119,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