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46,200원
ansgh4300
2025-09-121677282안녕하세요 전 aws 입문/실전을 책으로 구매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책에서는 키 페어 설정 없이 진행하는데 실무에서도 이런 방식으로 진행해도 되는건가요? 그리고 책에서는 우분투 서버에서 vi application.properties로 생성해서 정보 입력 후 배포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데 보안 위험은 없을까요? 주로 .env 파일로 중요 정보는 분리해서 우분투 서버에서 .env 파일 생성 후 실행하는 걸로 알고 있어서요.. ㅜ 그리고 나중에 nginx, Ec2, docker 기반 리액트 스프링부트 풀스택 배포할 계획인데 그럼 인스턴스는 프론트엔드 한개 백엔드 인스턴스 한개 해서 총 두개 생성해서 배포하는 건가요?
성호
2025-07-2516452861. 강의목록에는 백엔드 API서버만 배포한다고되어있는데 프론트엔드가 따로있거나 타임리프같은걸로 같이 화면에 나타날경우도 어떻게 배포하는지도 강의에있는지 궁금하고 2. 수강전문의들을보니까 Springboot로하는게 아닌거같은데 보충강의가있다고는하지만 괜찮은게맞는지 보충강의에서 제가 1번에말씀드린 내용들도있는지 궁금합니다. 3. 배포를할려면 배포할 프로젝트가 있어야될텐데 물론있긴하지만 환경이나 구성이 다를수도있어서 여기서 예제 배포 프로젝트도 제공을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JSCODE 박재성2025-07-25431240안녕하세요 성호님! 문의 잘 해주셨어요:) 1. 해당 강의에서는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를 각각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타임리프와 같은 템플릿 엔진을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예시를 들고 있진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백엔드 서버를 배포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이 강의를 듣고 배포를 시도해보시더라도 금방 하실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혹시 해보시고 안 되시면 질문 남겨주시면 제가 도와드릴게요ㅎㅎ) 2. Spring Boot 예제가 강의로 구성되어 있는 섹션이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Spring Boot 예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섹션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충자료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3. 강의를 따라가실 수 있게 예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배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로 궁금한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세진
2025-07-111634542AWS 자격증 준비 할 계획인데 입문 중급 과정 수강만으로 자격증 취득 가능할까요? 아니면 추후 다른 aws자격증강의까지 듣는게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JSCODE 박재성2025-07-11428375안녕하세요 세진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AWS 자격증을 따는 것'과 'AWS를 실전에서 잘 활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해당 강의는 'AWS를 실전에서 잘 활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자격증 취득이랑은 조금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당연히 자격증 취득에 도움이 어느 정도 될 수는 있으나 직접적으로 도움이 안 되다보니 해당 AWS 강의만 듣는 걸로는 자격증을 따는 데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AWS 자격증을 목표로 하신다면, AWS 자격증에 초점을 맞춘 강의를 찾아 들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kiroro0814
2025-06-241621473안녕하세요 강사님!! 현재 강사님의 도커 강의를 수강중인데 강의 방식이 너무 좋은것 같아서 강사님 로드맵을 그대로 수강해보고 싶은데요! 이번에 aws 입문/실습 에 대한 책을 출간하셨더라구요 그러면 혹시 로드맵에서 강사님의 aws 입문/실습 강의는 해당 책으로 대체해도 무방할까요…??
JSCODE 박재성2025-06-24424587안녕하세요 kiroro0814님! 강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aws 입문/실습은 책으로 대체해도 무방합니다:) 이 외로 또 궁금한 점 있으면 문의남겨주세요~~
Neon
2025-06-221620520혹시 강의에 오토스케일링 관련 내용 포함되어있을까요?
JSCODE 박재성2025-06-23424285안녕하세요 Neon님! 해당 강의에는 오토스케일링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혹시 또 궁금한 점 있으시면 문의 남겨주세요~~
lch3067
2025-05-221597484AWS AI 환경을 구축? LLM인가요? 상세히는 모르지만, 앞써 말한 부분과 관련있는 과정인가요? 아니면, 앞써 말한 부분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배워도 될까요?
JSCODE 박재성2025-05-22417123안녕하세요 lch3067님! 해당 강의는 AI 환경을 구축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 직접적으로 도움이 안 되실 수도 있습니다ㅠㅠ!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툴이 같을 수는 있으나 이 강의는 방향성이 다르기에 원하는 목표를 이루기에 적합해보이진 않네요..!! 이 외로 또 궁금한 점 있으시면 문의 남겨주세요~~
Jang Jaehoon
2025-05-211597049안녕하세요. 강의의 실습 환경이 너무나 궁금합니다. 윈도우즈 기반 노트북만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맥으로 촬영된 강의들은 따라가기 힘든 부분들이 있더군요.
JSCODE 박재성2025-05-21416947안녕하세요 Jang Jaehoon님! 강의의 실습 환경은 Mac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의에서는 AWS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웹 터미널 기능을 활용해 실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OS(윈도우, 맥)에 상관없이 수업 들을실 수 있을거예요! 혹시나 강의를 듣다가 윈도우여서 따라가기 힘든 부분이 있다면 강의 내에 있는 1:1 톡방으로 질문 해주세요! 그때그때 강의 따라가실 수 있게 계속 도와드릴게요:D
juys36775
2025-05-161593657안녕하세요 클라우드 엔지니어로 가고 싶은 대학생입니다.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아서 이 강의로 시작을 하려는데 괜찮을까요? 그리고 또 현재 25년도인데 23년도 강의를 들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JSCODE 박재성2025-05-16415910안녕하세요 juys36775님! 현재 강의를 들어도 괜찮습니다:) 현재까지 2025년에 수강하신 분들을 봤을 때는 크게 문제없이 AWS를 학습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2023년과 2025년을 두고 봤을 때 AWS의 핵심 개념이나 조작법이 크게 바뀐 부분은 없어서 괜찮으실거예요~!! 이 외로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열심인 참새
2025-04-301579759프리티어 기간이 끝났는데, 이 강의 따라하다보면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될까요? 그리고 일정 비용 이상이 됐을때 자동으로 인스턴스 종료하게 방어 할 수 있는 그런 류의 챕터도 이 강의에 있나요?
JSCODE 박재성2025-04-30412982안녕하세요 열심인 참새님! 프리티어 기간이 끝났다면 비용이 한 달에 5~10만원쯤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비용 절감을 위해 새로운 AWS 계정을 만들어 연습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AWS는 다른 이메일만 있으면 회원가입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프리티어 혜택을 활용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아쉽게도 강의에서는 일정 비용 이상 됐을 때 비용을 방어할 수 있는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ㅠㅠ 이 외로 또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하게 문의 남겨주세요~!!
11 1
2025-04-261577050AWS 입문, AWS 중급, Docker, Redis 이렇게 들을 예정인데 순서를 어떻게 정할지 고민입니다. 레디스는 성격이 많이 다른 거 같기는 한데... 어떤 순서로 듣는 걸 추천하시나요? 아직까진 DB 설계만 완강했고, 지금은 부트캠프 중이라 강의 듣는 걸 잠시 쉬고 있습니다. 그리고 박재성 님 강의 중 CI/CD나 Nginx, 쿠버네티스 등도 있는데, 이것들도 위에 제가 적은 것들이랑 비교해서 중요도나 우선순위가 높은 내용들인가요? 참고로 저는 완전 비전공자는 아니고 스프링이나 CS 지식은 어느 정도 있는 복수 전공자입니다.
JSCODE 박재성2025-04-27412257안녕하세요 11 1님! 질문 잘 해주셨어요:) 만약 서비스 기업에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하는 게 목표라면 아래 링크에 정해둔 순서로 강의 들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https://www.inflearn.com/roadmaps/3692 (위 링크에 어떤 것들이 중요한 지, 어느 정도까지 학습해야 하는 지도 적어뒀습니다ㅎㅎ) 혹시 다른 목표를 가지고 계시다면 질문 한 번 남겨주세요~~ 그 목표에 맞게 다시 순서 추천해드릴게요~!
gjkmtds
2025-04-221574857안녕하세요, DB설계입문 강의를 너무 잘 듣고있어서 강사님의 다른 강의를 찾다가 문의드립니다. 개발자는 아니고 데이터 아키텍처에 관심이있고 클라우드기반의 빅데이터 구축 관련된 공부를 하고싶은데 해당 강의를 들으면 될까요??
JSCODE 박재성2025-04-23411576안녕하세요 gjkmtds님! 문의 잘 주셨어요:) 우선 AWS 강의를 먼저 수강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 뒤에는 Docker나 쿠버네티스가 도움되실 가능성이 클 것 같습니다!! 정확히는 gjkmtds님이 가시고자 하는 분야의 채용 공고를 찾아보시고 그 채용 공고에 나와있는 기술 스택을 위주로 학습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D 고민하시다가 또 궁금한 점 생기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임다정
2025-03-131544224안녕하세요 강의 순서를 'AWS -> Nginx -> CI/CD -> Docker -> 쿠버네티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저는 백앤드 개발자로 공부중이고 JAVA,Spring을 사용중인데 강의 듣는데 문제없을까요?java,Spring으로 강의가 진행되는지요.JAVA,Spring관련 내용이 아예없으면 수강 하기 힘들것같아서요 ㅠ
JSCODE 박재성2025-03-13403851안녕하세요 다정님! 말씀드린 강의에는 전부 Java, Spring을 활용한 예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혹시나 강의를 수강하시다가 학습하기 어려운 점을 맞닥뜨리시면 언제든 도움 요청해주셔도 됩니다~!!
임다정
2025-03-101540827안녕하세요 강의를 찾아보던중 박재성님 강의들을 보게되었고 CI/CD,도커,AWS,쿠버네티스등 강의를 듣고싶은데 어떤순서로 들어야할지 방황중입니다..개발쪽은 잘아는데 빌드나 배포 이런 개념이 아예없어서 어떤순서로 들어야할지 알려주세요..쌩기초입니다
JSCODE 박재성2025-03-10403203안녕하세요 다정님! 문의 잘 해주셨어요:D 인프라 강의 중에서 순서를 추천드리자면 'AWS -> Nginx -> CI/CD -> Docker -> 쿠버네티스' 순으로 수강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이 순서로 학습하시다가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
edwin.dkim
2025-03-081539117혹시 제가 지금 유데미에서 도커 강의를 듣다가 EC2 다양한 분야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보안에 취약해진다면서 ECS에 대해서 알려주시던데 제가 지금 프로젝트에 바로 들어가야 할 상황이거든요. 그래서 도커에 대해서 배운 다음에 지금 강사님 강의 AWS랑 CICD 강의 들어도 프로젝트에 활용하기에는 충분할까요? 프로젝트는 IOT 프로젝트인데 시뮬레이터랑 ROS2를 이용하고 실물을 하나 만들어서 시뮬레이터+현물 + Spring Boot + MySQL, React를 사용할거 같습니다.
JSCODE 박재성2025-03-08402841안녕하세요 edwin.dkim님! 만약 급하게 프로젝트를 해야 하는 상황이시라면 Docker와 CI/CD 강의를 잠깐 미뤄두시고 AWS 강의만 들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AWS 강의만 들으셔도 서비스를 배포하는 데 크게 문제가 없을겁니다~!! 제가 올려놓은 AWS 강의의 내용을 배우시면 보안에 취약하지 않게 배포하실 수 있을 겁니다:D
박민규
2025-03-051535863유튜브에 올리신 영상들과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JSCODE 박재성2025-03-06402391안녕하세요 민규님! YouTube 에 올라가 있는 영상은 인프런 강의의 일부분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dp4455
2025-02-121518674안녕하세요 재성님 Docker와 Redis를 예전에 봤었고 Java 백엔드로 취준으로 하다가 요즘은 인프라 경험도 반 필수인 것 같아 최소한 지식이라도 챙겨가고자 하는데 Docker쪽도 ec2 설정에 대한 맛보기 강의는 존재하는데 도메인 관련한 route53, 이미지 관련한 cloudfront, s3 그리고 elb 용어는 저도 오늘 처음 봤는데 현재 고민인건 취준생이라 두 강의 전부 수강하기에 금전적 부담으로 인해 ㅜㅜ 하나만 선택해야 되는 상황인데 지식과 경험을 쌓기에 aws강의와 cicd강의 중 어떤 것이 저한테 더 적절할지 고민입니다 의견 부탁드려요!
JSCODE 박재성2025-02-12397868안녕하세요 dp4455님! 질문 잘 주셨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AWS 강의를 먼저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취준을 하는 입장에서 중요도를 따지자면 CI/CD 보다는 AWS에 대한 중요도가 높기 때문에 AWS 강의를 수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ㅎㅎㅎ 이 외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또 문의 남겨주세요~~
Huguenot
2025-01-181492511이 강의로 aws ssa 자격증 시험 준비에 충분할까요?
JSCODE 박재성2025-01-18393159안녕하세요 Huguenot님! 이 강의는 AWS 자격증에 초점이 맞춰져있지 않아서 이 강의가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무에서 사용하는 AWS 지식과 AWS 자격증을 통해 배우는 내용의 괴리감이 커서 그런 것 같네요ㅜㅜ)
minjun
2025-01-101485271사람들 문의를 보니 "자바 스프링부트인데 괜찮나요?" 라는 글들이 있던데 이게 언어에 따라 달라지는 내용인가요? 참고로 저도 자바 스프링 쓰고있습니다.
JSCODE 박재성2025-01-11391427안녕하세요 minjun님! 기존 강의가 AWS 실습을 Node.js 위주로 진행을 했어서 올라왔던 문의로 파악됩니다! 하지만 자바, 스프링부트에 대한 보충강의도 같이 올려두었기에 크게 문제가 되진 않을거에요:) 혹시나 자바, 스프링부트로 진행했을 때 막히는 부분이 생기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셔도 됩니다~~
달리는거북이
2025-01-031478235sts4환경에서 스프링 부트에서 war파일로 프로젝트를 완성 했는데, 강의를 듣고 배포를 할 수 있을 까요? ㅜㅠ 해보고는 싶은데 너무 막막해요.
JSCODE 박재성2025-01-04389832안녕하세요 달리는거북이님! 제사 sts4 환경을 사용해보지 않아서 확답을 드리기가 어렵네요ㅠㅠ! 우선 아래 링크를 통해서 강의 일부를 먼저 한 번 수강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 https://www.youtube.com/watch?v=LU8x1UEcPFA&list=PLtUgHNmvcs6qr33RT-UiguSsCr_2Gq0S3 수강해보시고 배포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신다면 강의를 구매해보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D
퍼블중
2024-11-281445462안녕하세요 수강전에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이전에 퍼블리셔 개발만 하다가 이번에 작은 강의 사이트를 개발 기획중입니다. html, php, mysql, git 을 사용해서 개발을 하려고 하는데 해당 사이트를 배포,서버 운영하는 부분과 관련해서 강의를 찾아보다 강사님의 강의 목차를 보고 바로 활용이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AWS를 사용해서 운영,배포하는 작업이 처음이라 관련으로 주의사항, 혹시라도 올리지 말아야할 정보를 올려서 요금폭탄을 받거나 하는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보니... 조심스럽게 문의 드립니다.
JSCODE 박재성2024-11-28383547안녕하세요 퍼블중님! 이 강의를 듣더라도 응용하셔서 충분히 html, php로 배포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html, php를 배포하는 부분이 강의에 나와있지 않다보니 어려움을 겪으실 수는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이 강의를 확실하게 추천드리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네요. 만약 AWS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배포하는 전반적인 흐름과 원리를 알고 싶으시다면 이 강의를 수강하셔도 될거에요! 그리고 AWS로 혹여나 과도하게 비용이 나가는 걸 방지하기 위해 강의 내에 비용을 어떻게 체크하는 지와, 비용이 나가지 않게 리소스들을 종료하는 방법도 같이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위에서 제가 말씀드린 내용을 고려하셔서 한 번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질문 잘해주셨어요 !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려볼게요 ! "책에서는 키 페어 설정 없이 진행하는데 실무에서도 이런 방식으로 진행해도 되는건가요?" -> 실무에서는 키 페어 설정을 해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예전엔 키 페어 설정이 필수였거든요ㅎㅎ) 책에 있는 전체 흐름이 익숙해진 뒤에는 키 페어를 생성해서 접속을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키 페어 설정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크게 문제되는 사항은 없어서 키 페어 없이 사용하셔도 됩니다! "우분투 서버에서 vi application.properties로 생성해서 정보 입력 후 배포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데 보안 위험은 없을까요?" -> 생각보다 보안 위험이 막 크진 않아요 ! 실무에서도 gitignore에 추가해서 application.properties를 관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그리고 .env 파일은 Spring 환경에서는 잘 쓰지 않는 편입니다. 나중에 CI/CD를 배우시게 되면 Github Actions의 secrets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조금 더 편하게 관리를 하기도 합니다! "nginx, Ec2, docker 기반 리액트 스프링부트 풀스택 배포할 계획인데 그럼 인스턴스는 프론트엔드 한개 백엔드 인스턴스 한개 해서 총 두개 생성해서 배포하는 건가요?" -> 말씀해주신 대로 프론트 인스턴스 한개 백엔드 인스턴스 한개로 배포하셔서 총 두개의 인스턴스를 운영하셔도 돼요 ! 하지만 운영 비용과 인프라 유지보수를 위해 꼭 두 개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EC2에서도 충분히 가능해요 ~ Nginx를 리버스 프록시로 활용해서 프론트엔드(정적 파일)는 직접 서빙하고, API 요청만 백엔드(Spring Boot)로 프록시하는 방식으로도 풀스택 배포를 할 수도 있어요 ! 이 외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아래 1:1 카톡 질문방으로 질문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XGKkQsh 결론적으로 배포 방식은 매우 다양해요 ! 각각 마다 장단점이 있어 현재 팀 혹은 프로젝트 상황에 맞게 하나의 방법을 정한 뒤 우선 운영을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 그렇게 운영을 하시다가 보완할점이나 개선사항이 발견되면 그때 개선해도 전혀 늦지않구 오히려 좋은 포트폴리오가 될수 있어요:)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