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수강평 6

평균평점 5.0

82% 수강 후 작성

이전의 시스템 프로그래밍-기본에 이어서 소켓프로그래밍에 들어갔는데, '소켓 = File 이다 / TCP로 가면 TCP Socket' 이다. 라는 게 추상적인 느낌이어서 무슨 말인지 모르겠던 게 명확해진 강의였습니다. 또한 이론으로만 봐서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었던 3 Handshake의 작동과정 / listen , bind, accept 함수의 사용을 하면서 정말 도면 그대로의 순서로 코딩을 하는구나를 느끼면서 소켓 프로그래밍 도면과도 친구(?)가 될 수 있는 뜻 깊은 강의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 이번 주 까지 소켓 프로그래밍 강의 전체 복습 / 주소록 연결리스트 재공부 이후에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 들어갑니다. 이전의 OS, TCP/IP, 시스템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면서 겹치는 게 많다보니 이해가 크게 어렵지 않아 생각보다 진도가 빠르게 나가서 '이게 맞나?' 싶기도 합니다. 허허..

널널한 개발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널널한 개발자
지식공유자

딱 제가 원했던 결과를 얻으신 것 같습니다. TCP/IP 프로토콜에 대해 알고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제대로 공부한다면 소켓 프로그래밍은 어떤 측면에서 자동으로 끝난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계신다는 피드백을 드려봅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프로그래밍도 보면 알게 되시겠지만 다소 추상적일 수 있는 TCP/IP에 관한 설명이 왜 그렇게 됐는지 스스로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평가 고맙습니다. :)

Windows 소켓 프로그래밍 입문에서 고성능 서버까지! 썸네일
널널한 개발자

·

47강

·

1,469명 수강

Windows 소켓 프로그래밍 입문에서 고성능 서버까지! 썸네일
널널한 개발자

·

47강

·

1,469명 수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