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강평 15
・
평균평점 5.0
100% 수강 후 작성
안녕하세요, 영한님 :) JPA 활용 2편 강의 완강했습니다!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두 번 반복해서 듣고 있습니다. 영한님께서 집필하신 JPA 책도 구매해서 기본 이론을 좀 더 탄탄히 공부해보려 합니다. 질문 게시판에도 올렸지만 AI가 답변을 달아주어, 정확한 답변이 궁금해 이렇게 다시 질문드립니다! 강의 내에서 Result 클래스를 사용해 응답을 감싸주셨는데, 이와 같이 응답을 추상화하는 방식으로 ResponseEntity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즉, Result 클래스를 따로 만들지 않고 DTO를 ResponseEntity로 감싸서 반환하는 방식으로 대체해도 무방한지 궁금합니다. 항상 좋은 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김영한
지식공유자
갈색곰님 AI가 답변을 남겨준 것이 딱 정답입니다. Result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은 JSON 응답 포멧 자체가 달라지는 것이고, ResponseEntity로 감싸는 것은 HTTP 응답 포멧 자체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http 상태 코드 같은 것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