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됨
・
수강평 1
・
평균평점 3.0
블레이드 서버가 랙마운트 서버와 크기가 비슷하다고 하시는 것, (블레이드 서버는 보통 10U와 비슷합니다.) 동적 컨텐츠를 움직이는 컨텐츠라고 하시는 것 (동적 컨텐츠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달라져 연산이 필요한 컨텐츠를 뜻합니다.), 포워드 프록시가 웹서버 뒤에 위치한다는 것 (포워드 프록시는 클라이언트 바로 뒷단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숨기거나 필터링을 위한 보안의 목적으로 존재합니다. 물론 캐싱의 역할도 하구요. 이 역할을 하려면 클라이언트 바로 뒤에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등 올바르지 않은 정보가 너무 많습니다.
소중한 피드백 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지적하신 블레이드 서버 크기는 실제로 말씀하신 10U 크기의 서버가 가장 흔하긴 합니다만 6U 사이즈도 있습니다. 랙서버가 과거 4U 정도만 해도 큰 서버에 속했기에 이렇게 놓고 보면 말씀하신 대로 블레이드 서버 크기를 랙 마운트 서버와 비슷하다고 표현하는 것은 어폐가 있겠으나, 최근 랙 마운트 서버도 8U, 10U 크기의 GPU 서버도 나오기에 블레이드 서버 크기를 랙 서버와 비슷하다고 한 것이 아주 틀리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미지와 함께 해당 표현을 사용하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강생님처럼 생각하실 수도 있기에, 이 부분은 자료에 해당 내용을 업데이트해서 자료를 업데이트하겠습니다. 두 번째로 지적하신 동적 콘텐츠 설명의 경우, 강의 영상을 제작할 당시 수강생에게 최대한 쉽게 비유를 들어 설명하려하다보니 말씀하신 동적 콘텐츠를 한자 그대로 움직이는 콘텐츠로 표현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달라지는 콘텐츠라는 부가설명이 없었던 점으로 인해 시청하시는 분들께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역시 자료에 해당 내용을 추가해서 영상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포워드 프록시 서버를 웹서버 뒤에 위치시켜 캐시 서버 형태로 설명한 것은 명백한 오류입니다. 캐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그리고 리버스 프록시 서버와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영상 제작 당시에 웹서버 뒤에 두고 설명했는데, 이 내용은 잘못된 것이 맞고요. 자료와 영상 내용을 수정해서 다시 제작해 업로드한 다음, 해당 강의에 코멘트 달아두겠습니다. 다시 한번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인해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하다는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추후 콘텐츠 제작 시 더욱 심혈을 기울여 꼼꼼하게 확인하겠습니다. 수강생님의 건승을 빕니다.
관련 내용을 1강의 서버와 역할 및 종류, 서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파트에 수업 노트로 추가하고 영상을 수정해 업로드했습니다. 다시 한번 잘못된 정보로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하다는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