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OMG님의 프로필 이미지
OMG

작성한 질문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있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298

0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를 참고하여 프로젝트를 진행 했는데 문제가 발생해서 질문드립니다.

관리자(admin)가 item 테이블의 데이터 하나를 삭제하려고 할 때

해당 item을 주문한 orderItem이 존재하여 외래키 제약 조건 위반이 발생하여 삭제를 하지 못하는 경우,(제가 의도한 설계는 아닙니다)

어떤 식으로 해결 해나가야 할지 감이 잘 잡히지 않네요.

JPA에 외래키 제약 조건이 발생하더라도 강제로 삭제를 진행하는 옵션이 있다면 해당 옵션을 걸어줘야 하는지, 아니면 애초에 설계를 orderItem이 있다면 해당 item은 삭제가 안되게 설계를 해야하는건지 

영한님이라면 어떻게 해결하실지 궁금합니다..ㅠㅠ

 

답변 1

1

김영한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영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OMG님 좋은 질문입니다^^

설계의 의도상 외래 키 제약조건을 걸어두었다면, 이 경우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맞습니다.

(외래 키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외래 키 제약 조건을 말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 상황에서 order를 삭제하면, order가 없는 orderItem들은 향후 서비스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통계를 내야 하는데, order는 없지만 orderItem들만 있는 경우는 어떻게 처리할지 등등 수많은 정책들이 일관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서비스를 유지보수하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 order를 삭제하기 전에 먼저 연관된 orderItem을 삭제하고, 그 다음에 order를 삭제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비즈니스 의사결정이 orderItem과 무관하게 order를 그냥 삭제해도 된다고 결정했다면, 외래키 제약 조건을 제거하면 됩니다.

참고로 JPA는 외래키 제약조건과 크게 관계가 없습니다. JPA가 테이블은 자동으로 만들어줄 때 기본으로 외래키 제약 조건을 추가하지만, 실제 DB 테이블을 만들 때 해당 외래키 제약조건을 넣거나 빼는 것은 DDL을 생성할 때 개발자와 DBA가 결정하면 됩니다.

추가로 데이터가 매우 많은 경우 성능과 유지관리 때문에, 비즈니스 요구사항이 외래 키 제약조건이 필요해도 어쩔 수 없이 포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OMG님의 프로필 이미지
OMG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