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46
0
DTO와 DAO를 만들지 않고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는데 혹시 만들어서 하는 것을 추천하시나요?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추세인가요? 실무에서는 어떻게 구성해서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DTO와 DAO는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전달과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담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프링 JPA와 같은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편리하게 처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스프링 JPA는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의 매핑을 자동으로 처리해주기 때문에 별도로 DTO와 DAO를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대신에 엔티티 클래스를 정의하고 JPA의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처리합니다.
실무에서는 스프링 JPA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액세스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복잡한 SQL 쿼리나 데이터베이스 연동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더 나아가 스프링 JPA의 편리한 기능들을 활용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프링 프로젝트에서는 DTO와 DAO를 별도로 만들지 않고 스프링 JPA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처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규모나 복잡도 등에 따라 DTO와 DAO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추가적인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