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673
·
수정됨
0
@PostMapping("/login")
public String loginFormV3(@Validated LoginForm loginForm,
BindingResult bindingResult,
HttpServletRequest request){
if(bindingResult.hasErrors()){
return "login/loginForm";
}
Member loginMember = loginService.login(loginForm.getLoginId(), loginForm.getPassword());
if(loginMember == null){
bindingResult.reject("loginFail",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맞지 않습니다.");
return "login/loginForm";
}
// 로그인 처리 TODO 쿠키를 만들어서 브라우저로 전송하면 브라우저에서 요청시마다 쿠키를 함께 전달함
//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HTTP 세션 매니저 사용
HttpSession session = request.getSession(); // 세션이 있으면 있는 세션 반환 없으면 새로 만들어서 반환함
// 세션에 로그인 회원 정보를 보관한다.
session.setAttribute(SessionConst.LOGIN_MEMBER, loginMember);
// 기본적으로 다 메모리에 저장됨
// 세션 생성하려면 .getSession에 파라미터를 true(근데 디폴트라 생략가능)
// false라고 하면 새로운 세션을 반환하지 않고 null로 반환한다.
//sessionManager.createSession(loginMember, response);
return "redirect:/";
}
이 코드에서 session.setAttribute()
을 통해 하나의 세션의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다는 말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여기서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다는 말은 하나의 key에 여러가지 value를 저장하는 MultiValueHashMap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인가요?
감사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세션에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요. 위의 코드에서는 HttpSession
객체를 사용하여 세션에 로그인 회원 정보를 보관하고 있어요. session.setAttribute(SessionConst.LOGIN_MEMBER, loginMember)
코드를 통해 세션에 LOGIN_MEMBER
라는 이름으로 loginMember
객체를 저장하고 있어요. 이렇게 저장한 데이터는 다른 요청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요.
세션은 기본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지만, 세션 매니저 설정을 통해 다른 저장소에 저장할 수도 있어요. 세션 매니저는 개발 환경이나 설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해당 프레임워크나 언어의 공식 문서를 참고해주시면 될 거에요.
따라서 세션을 사용하면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유지하고, 여러 요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세션에 너무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면 서버의 메모리 부담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명확하게 이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