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52
0
해당 프로젝트에서 controller가 따로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service나 repository에 있는 메서드들의 호출이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스프링에서 controller가 따로 없는 프로젝트에서 service나 repository에 있는 메서드들의 호출이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하시군요.
스프링은 IoC(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를 제공하여 객체의 생성, 의존성 주입 등을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유연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스프링에서는 @Service
, @Repository
등의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해당 클래스를 스프링이 관리하는 빈(Bean)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등록된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에서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주입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controller가 따로 없더라도 다른 클래스에서 service나 repository에 있는 메서드들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클래스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의존성 주입을 받아야 합니다.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의존성 주입을 받으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해당 인터페이스나 클래스의 구현체를 찾아주고, 주입해 줍니다. 이렇게 주입된 인스턴스를 통해 service나 repository에 있는 메서드들을 호출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스프링에서는 IoC 컨테이너를 통해 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관리하고 의존성 주입을 통해 다른 클래스들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 없이도 서비스나 리포지토리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IoC 컨테이너와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에 대해 찾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스프링 공식 문서나 관련된 강의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어려운 내용이 있으시면 지식 공유자에게 문의해주세요. 좋은 공부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