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float의 가장 작은 값
작성
·
885
1
강의에서 1:00에서 변수 max에다가 float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값을 입력하는데 FLT_MAX에다가 -를 붙이는데 FLT_MIN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또 정수형의 경우
예를들어 char형이면 char형의 최댓값은 127이고 최솟값은 -128이어서 최댓값인 127에 -를 붙여도 최솟값이 안되는데
실수의 경우는 다른가요? 그냥 최대값인 FLT_MAX에 -를 붙이면 최솟값이 되나요?
항상 감사합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답변 도우미 Soobak 입니다.
실수 자료형과 정수 자료형 간의 숫자를 표현하는 방식 차이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실수 자료형은 부호 비트, 지수부, 그리고 가수부 라는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참고 - 강의 3.11 부동소수점형)
부호 비트는 값이 양수인지 음수인지를 결정하고, 지수부와 가수부는 실제 수치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방식 때문에, float 의 최대 값에 - 부호를 붙이면,
부호 비트만 변경되고 지수와 가수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float 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수형의 경우, 표현하는 방식 때문에 음수의 최대 절대값이 양수의 최대 절대값보다 1 크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말씀하신대로 8 비트 char 자료형의 경우, 최댓값은 127 이고 최솟값은 -128 입니다.
마지막으로, FLT_MIN 은 0 보다 큰 가장 작은 float 값을 나타냅니다.
즉, 0 에 가장 가까운 양의 float 값을 나타내는 것이지, float 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참고 링크를 첨부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