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24
0
안녕하세요.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controller 메서드가 있습니다.
public String test(@RequestBody TestDto testDto) {
}
TestDto안에는 int 타입의 age이란 필드가
있는데요
{
"age": "1234a"
}
이런식으로 요청을 넘겨주면
TestDto 바인딩 과정에서 문자로 인한 에러가 발생합니다.
저는 이때 이 예외를 감지해서
"나이는 숫자만 입력 가능합니다."
이런식으로 메시지를 반환해 주고 싶은데요
BindingResult를 사용해보니 @ModelAttribute
에서만 가능한 것 같습니다.
@RequestBody 사용시 이렇게 바인딩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바인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때는 @Validated 어노테이션과 함께 BindingResult 파라미터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아래는 예시 코드입니다.
public String test(@Validated @RequestBody TestDto testDto, BindingResult bindingResult) {
if (bindingResult.hasErrors()){
return "나이는 숫자만 입력 가능합니다.";
}
// 처리 로직
}
@Validat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TestDto 클래스에서 선언된 Validat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요청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BindingResult 파라미터에는 요청에서 발생한 오류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hasErrors() 메소드를 사용해서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처리하면 @RequestBody 사용시 발생하는 바인딩 오류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카펠라님!
테스트 시 데이터를 폼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 JSON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따라 받는 부분코드가 달라질 수 있는데요, FORM일 경우 @ModelAttribute로 JSON 전송일 경우 @RequestBody 로 받습니다. 혹시 전송하는 부분이 Form형식인지 JSON형식인지 먼저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폼 값에 대한 검증은 말씀하신것처럼 @Valid, BindingResult 그리고 @Digits 어노테이션으로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알려주신 예시대로 해서 안되었던건데요
@ModelAttribute는 되지만 @RequestBody가 안되어서 드린 질문인데
혹시 아래와 같이 gradle에 validation 추가한 것 말고 더 필요한 설정 같은게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