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75
0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하고있는 수강생입니다. ㅠㅠ 영상을 계속봐도 이해가 잘 되지않아 응용하여 연습중 질문을드립니다. ㅠ
저는 온라인 질문지(카테고리별을 참조하는 entity)를 만들고 사용자가 질문에 답변하고 그 내용들을 카테고리별entity에 저장되는식으로 만들고있습니다.
A (카테고리별 모음 질문지)와 카테고리별 entity : - A-1 (기억) A-2(성격) A-3(건강) 이런식으로 구성하였고
이럴 경우 A-1, A-2, A-3 테이블들은 @ManyToOne이 되고 A(총 모음)테이블은 @OneToMany)가 되는 방식이 맞을까요???
결국에 하려고하는건 사용자가 질문지A(카테고리별 모음)에 질문에 대한 응답을하고 응답된 자료들은 각 카테고리별 A-1, A-2, A-3 에 각각 저장되는식으로 만드려고하는데 가능할까요???
Member - Team 식으로는 이해가되는데 살짝 응용하여 위와 같은 상황에선 헷갈려서 질문을 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질문 내용에 따르면, 카테고리별 질문지를 만들어서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질문과 답변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고자 하시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카테고리별 질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테이블이 필요합니다. 엔티티 간의 관계 설정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한 개의 부모 엔티티는 여러개의 자식 엔티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카테고리 테이블은 부모 클래스인 “A” 클래스와 관계 매핑하여 @ManyToOn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리고 “A”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들과 OneToMany 어노테이션으로 매핑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A-1”, “A-2”, “A-3” 테이블은 “A” 테이블을 참조하므로 @ManyToOne 어노테이션이 적합하고, “A” 테이블은 “A-1”, “A-2”, “A-3” 테이블들과 OneToMany 어노테이션으로 매핑하시면 됩니다.
이상적인 데이터 모델링이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만드는 것은 복잡하고 까다로운 일이지만, 지속적인 노력과 실습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질문에서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