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38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갑작스레 FPGA를 이용한 회로설계를 구현하게 된 학생입니다..ㅠㅠ
설계해야 할 회로는, FPGA를 이용하여 28 channel 의 voltage pulse 를 만들어서 특정 구조의 반도체 device에 인가해주고, 그 소자로부터 10개 이상의 output 을 다시 multichannel로 반환받는 회로입니다.
device는 28x28 의 crossbar array 에 총 784개의 반도체 소자 중에서 28개의 소자가 FPGA로부터 voltage pulse 를 입력받고, 다시 784개의 반도체 소자 중에서 10개 이상의 소자(미정)가 값을 출력하여 FPGA로 반환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때, device로의 입력 전압은 square 모양의 0.5~3V 범위의 analog pulse로 구현해야 하므로 DAC를 거쳐 출력해야하며, device의 출력 전압은 analog 값이므로 다시 ADC를 거쳐 FPGA로 반환되어야 합니다.
**핵심**
따라서 FPGA-DAC-device-ADC-FPGA 순서로 data가 흘러가며, FPGA는 1us 주기로 device로 input pulse를 인가하고, 그에 따른 출력을 반환받아야 합니다.
맛비님의 강의가 제가 하려는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유사한지, 유사하다면 어떤 순서로 강의를 수강해나가야 할지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부디 제가 맡은 바 수행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짜주신다면,, 정말 열심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학회에 발표하게 된다면 맛비님께 감사한다며 홍보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먼저, 프로젝트의 방향성이 맛비님의 강의와 유사한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세부 사항을 더 자세히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제가 이해한 내용으로는, 맛비님의 강의가 FPGA를 이용한 회로 설계에 관한 것이라면 프로젝트 방향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프로젝트와 관련된 부분이 많다면, 맛비님 강의를 먼저 들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강의에서는 FPGA-DAC-ADC 순서대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프로젝트와 유사한 순서이기도 합니다. 또한, 이러한 순서를 이해하는 것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FPGA-DAC-device-ADC-FPGA의 순서로 데이터가 흐른다는 것이 전체적인 구성이 아니므로, 세부적인 내용까지 자세하게 공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발표할 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커리큘럼을 짜주는 것은 제가 할 수 없으므로, 맛비님의 강의를 참고하여 직접 학습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좋습니다. 맛비님의 강의에서는 FPGA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서 순서대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차근차근 따라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맛비님의 강의를 수강하시고, 그에 따라 직접 프로젝트를 구성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힘내시기 바랍니다! 또한, 학회 발표에 대해 성공하시는 것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