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윤성원님의 프로필 이미지
윤성원

작성한 질문수

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나만의 웹서비스 + 워드프레스 서비스 만들기2

dockrun의 -v옵션과 docker compose에서 volume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작성

·

554

·

수정됨

0

docker run에서 -v는 호스트pc의 폴더와 docker container의 폴더를 연결시켜서

처음에는 호스트 pc에 있는 파일들을 해당 docker로 옮기고.

컨테이너가 동작하면서 변경된 파일들도 호스트 pc에 저장되고. 컨테이너가 꺼져도 호스트pc에는 그 파일들이 그대로 남아있는거로 알고 잇습니다.

 

근데 wordpress강의하시면서 docker compose에서 volumes를 설명하시는데 호스트pc와 연결을 안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럼 도커 demon(강의 초반부에 설명하셨던 도커 서버역할 하는 부분..??)에서 volume을 어딘가에 만들어서 관리하는건가요??

 

근데 또 다음강의 12분쯤에는 volumes: -"./myweb:user/share/nginx/html" 이런 식으로 쓰면서 copy랑 연관지어서 호스트 pc의 경로랑 연결짓기도 해서 뭐가 뭔지 모르겟슴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답변도우미입니다.

volume 은 크게는 결국 두가지 기능이 있는데요. 하나는 호스트 PC 의 특정 폴더를 컨테이너 내부 폴더에 연결하는 역할이고요. 보통은 호스트 PC 의 특정 파일을 컨테이너 안에 넣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또다른 하나는 단순히 컨테이너를 삭제해도 계속 저장소에 해당 데이터가 남게 하도록 하는 기능인데요. 이를 위해서는 호스트 PC 의 특정 폴더에 남길 수도 있고, 단순히 이름을 정해서, 도커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윤성원님의 프로필 이미지
윤성원
질문자

단순히 이름을 정해서, 도커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거군용. 감사합니다!

윤성원님의 프로필 이미지
윤성원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