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그 예제중에서 업데이트나 인설트할때 request와 response 각각 클래스로만들어 주셨는데 이런방식으로 하는게좋나요?
-> 비즈니스가 단순하면 합쳐도 되고, 비즈니스가 복잡하면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2.위에 방식을 추천드리시면 두개의 클래스를 컨트롤러에서 생성이 아닌 하나의 dto클래스에넣어서 사용하는게 괜찮겠죠 ??
-> 1번의 답과 같습니다.
3.화면과 밀접한관계가있는 리파지토리는 따로 분리해서 만드셨는데 이럴경우는 특별히 비즈니스로직을 사용하지않을거같은데 본예제와같이 서비스를거치지않고 컨트롤러에서 사용해도 괜찮은가요 ?
-> 네 아키텍처상 항상 서비스를 거쳐야 한다고 강제하는 아키텍처가 있고, 의존성의 방향만 한 방향으로 흐르면 컨트롤러에서 바로 리포지토리를 호출해도 무관하다는 아키텍처도 있습니다. 저를 실용적인 관점에서 후자를 주로 선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