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퓨퓨님의 프로필 이미지
퓨퓨

작성한 질문수

주문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분산트랜잭션

Choreography - 테스트

테스트 코드

작성

·

15

0

안녕하세요. 강의 전체 수강 후 질문드립니다. Choreography Saga 패턴에서 이벤트 발행 테스트는 Embedded Kafka 없이 행동 검증(verify)만으로 충분한지 궁금합니다.

 

강의에서 테스트 코드에 대한 내용이 없었는데, 이벤트라는 개념이 도입되면서 테스트를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찾아보니 Embedded Kafka를 많이 사용하더라고요.

하지만 제 생각에 Choreography 패턴에서 중요한 것은 "이벤트가 올바르게 발행되었는가"라는 행동 검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벤트 발행 로직을 Facade 계층으로 분리하고, 테스트에서는 InOrder와 verify()로 발행 여부만 검증하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즉, 이벤트 발행 부분을 Facade 계층으로 올리고 Embedded Kafka를 사용한 통합 테스트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데, 이 접근 방식이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Orchestration 방식도 똑같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강사님의 테스트 코드에 대한 생각이 궁금해서 질문을 작성합니다. )

답변 2

0

최상용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상용
지식공유자

퓨퓨님 안녕하세요.
어떤것을 테스트하는것이 목적인가? 를 생각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비즈니스로직을 검증할 때 저는 카프카 발행을 했는가? 정도만 검증을 하는편입니다.
컨슈머쪽은 로직에 대한 테스트를 하는편입니다.

통합테스트는 별도로 진행하진 않았는데 필요하다면 진행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엔 카프카 메시지 발행여부정도와 실제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정도로만 했던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퓨퓨님.

테스트 코드에 대한 고민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Choreography Saga 패턴에서 이벤트 발행 테스트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퓨퓨님께서 언급하신 행위 검증(verify) 방법은 적절한 접근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Choreography 패턴에서는 이벤트 발행이 중요하며, 이를 테스트하는 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벤트가 올바르게 발행되는지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Mocking과 행위 검증: 이벤트 발행 로직을 Facade 계층으로 분리하고, 해당 계층의 메서드를 mock한 후, 필요에 따라 InOrder와 verify 등을 사용하여 메서드 호출 순서와 횟수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벤트가 올바르게 발행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Embedded Kafka를 사용한 통합 테스트: 실질적인 이벤트 발행과 소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Embedded Kafka를 사용하여 통합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는 실제 Kafka에 이벤트가 제대로 발행되고 소비되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퓨퓨님께서 제안하신 방법은 단위 테스트 수준에서는 충분할 수 있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이벤트가 제대로 발행되고 처리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검토 또한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Orchestration 방식과 같이 이벤트 흐름이 중요한 경우에는 Embedded Kafka를 통해 전체 흐름을 검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의견을 위해 강사님의 답변 링크를 참고하실 수도 있습니다: 테스트에 대한 질문과 답변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퓨퓨님의 프로필 이미지
퓨퓨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