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ㅇㅇ님의 프로필 이미지
ㅇㅇ

작성한 질문수

React 완벽 마스터: 기초 개념부터 린캔버스 프로젝트까지

CSR, SPA, 진입점, 루트 컴포넌트

강의와 만들어진 코드가 달라요

작성

·

20

0

코드 다름.png.webp

좌측이 강의 코드, 우측이 강의 보며 10강까지 진행한 코드 결과입니다. 우측, 만들어진 코드를 보니 ReactDom, <React.~~> 등이 입력되어있지않아요. 무슨 문제인걸까요?

답변 3

1

함수(메서드)나 컴포넌트를 구조분해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하여 가져온 차이입니다.

React 와 ReactDOM 을 가져와(import) ReactDOM.createRoot(), React.StrictMode 를 사용하는가?

아니면 구조분해할당 문법을 사용하여 createRoot(), StrictMode 로만 사용하는가에 차이입니다.

React에서는 이런 구조분해할당이 많이 사용되니 꼭 해당 문법은 익혀두시는 게 좋습니다.

1

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짐코딩
지식공유자

ReactDOM.createRoot와 createRoot의 차이는 모듈을 가져오는 import 방식의 차이입니다:

  1. ReactDOM.createRoot (네임스페이스 import)

  • ReactDOM 객체를 통해 접근

  • 전통적이고 명시적인 방식

  • 어떤 패키지에서 온 메서드인지 명확함

     

  1. createRoot (named import)

  • 함수를 직접 import

  • 더 간결한 코드

  • 필요한 함수만 import (tree-shaking에 유리할 수 있음)

기능적 차이는 없습니다! 두 방식 모두 동일한 함수를 호출합니다.

권장사항

  • 개인/팀 선호도에 따라 선택

  • 일관성 유지가 중요

  • React 공식 문서는 주로 named import 방식 사용

  • 최신 프로젝트에서는 createRoot (named import)를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ㅇㅇ님.

좌측의 코드와 우측 코드의 차이는 React 버전에 따른 코드 스타일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신 React 버전에서는 ReactDOM 대신에 createRoot 함수가 직접 사용됩니다. 이런 변화는 React 18 버전에서 많이 보이는 패턴입니다.

우측 코드에서 createRoot가 직접 사용되고 있다면, 이는 최신 React 버전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 없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발생한 SyntaxError는 Node 환경 관련 이슈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몇 가지 해결 방안을 제시합니다:

  1. React 버전 확인: 사용 중인 React 버전을 확인하여 18 버전을 설치했는지 확인해 보세요. React 18 이상부터는 ReactDOM.createRoot로 시작하는 방식에서 createRoot를 직접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습니다.

  2. Node 버전 호환성: Node.js의 버전(v20.11.1)이 최신이라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에러 메시지가 node:util 때문에 발생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Node의 LTS 버전(현재 기준으로 v18.x)을 사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3. 환경 설정 확인: 프로젝트의 환경 설정 파일(package.json 등)을 확인하여 react, react-dom의 버전 및 기타 설치된 패키지를 점검하십시오.

관련하여 다른 질문과 답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ㅇㅇ님의 프로필 이미지
ㅇㅇ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