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kokunguk님의 프로필 이미지
kokunguk

작성한 질문수

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GA4에서 이벤트를 만드는 4가지 방법

이벤트 태깅관련

작성

·

24

0

안녕하세요 현재 실무에서 이벤트 태깅은 다 FE개발에서 해주고 있는데요.

이벤트 기획안에
태깅 할 화면과 함께 이벤트카테고리/이벤트라벨/이벤트액션 을 정의해주면 FE개발이 심어주는데 이 케이스가 Gtag 개념인건가요?

GTM은 한번도 직접 해본적 없는데 GTM도 쓸줄 알아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GA4 Guide님의 프로필 이미지
GA4 Guide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었습니다.

네 맞습니다. FE에서 코드를 직접하고 계시다면 gtag가 맞습니다.
gtag로 이벤트 태깅을 하고 계시다면 추가로 GTM을 쓰실 필요는 없습니다.

(참고로 gtag와 gtm을 같이 사용도 가능합니다.)

GTM은 개발자(FE)의 도움없이 어느 정도 이벤트를 셋팅할 수 있고, 태그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kokunguk님.

현재 질문하신 상황은 이벤트 태깅이 FE(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의존되어 있으며, 이벤트 카테고리/라벨/액션으로 정의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발자 측에서 태깅을 진행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이 방식은 Google Analytics에서 gtag.js를 사용하여 직접 코드에 삽입하는 방법과 유사합니다.

GTM(Google Tag Manager)을 통한 이벤트 태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 개발 의존도 감소: 개발자 없이도 마케터가 직접 태그를 관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개발 리소스가 절약됩니다.
2. 유연한 관리: GTM은 한번 설정된 태그를 관리하고 버전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3. 테스트 및 디버깅: GTM에서는 실시간으로 테스트하고 디버깅할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처음에 GTM을 이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분석과 트래킹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캠페인이나 이벤트 관리를 해야 하는 마케팅 업무에서 GTM의 사용은 매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GTM과 관련된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GTM에 최대한 이벤트를 만드는 것이 관리하기 쉽진 않을까요?”
- “GA4 이벤트 생성 방법 - GTM, GA4이벤트 차이”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kokunguk님의 프로필 이미지
kokunguk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