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레이어간 흐름에 대한 엄격함

작성

·

14

0

안녕하세요 제미니님, 유튜브부터 잘 보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항상 좋은 영상과 강의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고 블로그에 작성해주신 글 [지속 성장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가는 방법] 중 소프트웨어 레이어에 대해 언급을 해주셨는데, 해당 강의의 프로젝트가 이와 유사한 구조인 듯합니다.

 

질문:

제미니님은 현업에 계실 때에 비즈니스 레이어(Service)에서 도구 레이어(Finder, Handler,..)를 호출하는 흐름을 어느 정도까지 강제하셨는지가 궁금합니다.

팀 단위의 개발에선 컨벤션이 어느정도 정해져있는게 개발 생산성에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질문 남겨봅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철이와미애님, 질문 감사합니다.

팀 단위의 개발에서 소프트웨어 레이어 간의 흐름을 얼마나 엄격하게 유지할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프로젝트의 복잡성, 팀의 경험 수준, 그리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컨벤션을 설정하게 됩니다.

  1. 컨벤션의 중요성: 컨벤션이 설정되어 있으면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쉽고, 새로운 팀원이 진입할 때도 학습 곡선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2. 비즈니스 레이어와 도구 레이어의 역할: 비즈니스 레이어는 주로 비즈니스 로직을 다루고, 도구 레이어는 주로 유틸리티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레이어 분리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면, 각 레이어가 자신의 책임에 맞는 역할을 하도록 강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강제 수준: 강제하는 수준은 팀의 합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코드 리뷰나 설계 리뷰를 통해 이 부분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팀 컨벤션을 설정한 후, 코드 리뷰나 자주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을 문서화하여 팀원들이 쉽게 이해하고 따라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출처: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