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혹시 해당 강의에서invalidateQueries를 사용한 이유가 있을까요?
작성
·
9
0
invalidateQueries와 setQueryData
이전 강의 영상에서는 네트워크 요청을 최소화의 목적으로 setQueryData를 사용했는데
이번 강의 영상에서는 invalidateQueries를 사용한 이유가 있을까요?
단순히 궁금해서 입니다!
답변 2
0
어떤것만 쓰는게 정답도 아니고, 이전에 사용했다고 앞으로도 사용하는것도 아닙니다.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어떤 시점에 어떤 데이터를 신뢰할지에 따라 다릅니다. 서버 데이터가 더 믿을 만하거나 영향을 받는 데이터가 많다면 서버데이터를 최신으로 가져오는것이 낫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oridori2705님.
invalidateQueries와 setQueryData는 모두 React Query에서 사용하는 쿼리 상태 관리 메소드입니다. 두 가지의 목적과 사용 용도가 조금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invalidateQueries: 특정 쿼리를 무효화하고 다시 데이터를 가져오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데이터를 강제로 갱신해야 할 때 주로 사용하며, API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갱신되거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서버 데이터가 변경될 가능성이 클 때 유용합니다.
setQueryData: 캐시에 있는 데이터를 수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네트워크 요청을 최소화하려는 경우, 이미 알고 있는 데이터로 쿼리의 캐시를 업데이트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한 후 직접 변경된 데이터를 캐시에 반영하여 네트워크 요청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 invalidateQueries를 사용한 이유는, 사용자가 변경한 데이터에 대한 전체적인 최신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여러 클라이언트나 페이지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접근하는 경우가 많을 때, 전체를 무효화하고 다시 가져옴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유사한 질문이나 해결 방법을 참고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확인해 보세요:
- staleTime과 invalidateQueries
이 링크에서는 invalidateQueries와 관련된 다양한 사례와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니, 사용 방식에 대한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