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mildoneshot님의 프로필 이미지
mildoneshot

작성한 질문수

수익형 AI Agent n8n 전문가 강의, 블로그·쇼츠 자동화

교육이 docker 기반인데 선택하신 이유가 있으신가요?

해결된 질문

작성

·

30

·

수정됨

0

요즘 솔루션들이 doker에서 k3s나 minikube로 넘어가는 구조로 알고 있습니다.

awx의 경우에는 앞으로는 docker 기반보다는 kubernetis 기반을 표준으로 전환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요. docker가 더 사용하기 쉽고 리소스 사용량과 조치적인 부분에서 유리하여 선택하신건가요? 실질적으로 저는 이 시스템을 구성하여 몇몇 솔루션을 연동하여 솔루션을 구동하려 하기에 강의 구매를 했고, 이 내용을 참고하여, 구성을 하려 합니다. 제가 생각할 땐 시작이 제일 중요한 것이라 강의와 무관한 내용을 여쭤봅니다.

답변 2

0

남박사님의 프로필 이미지
남박사
지식공유자

쿠버네티스라는 개념은 사실 나온지가 상당히 오래된 개념이긴 한데 지금 말씀하시는 쿠버네티스는 보통 구글이나 AWS 같은 대기업에서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도커 컨테이너가 수천~수만개씩 생성될텐데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도커 컨테이너의 개수 또한 늘어나며 결국 어떤 임계점이 넘어가면 이를 관리하는거 자체가 더 큰 일이 되버리는 문제로 인해 이런 문제를 보완하여 100%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그런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컨테이너 운영체제 같은 역할입니다.

minikube나 k3s는 이런 쿠버네티스를 테스트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며 이 역시 보통 도커에서 구동시켜서 테스트 합니다. 따라서 얼마나 거대한 규모의 환경을 구상하시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기업수준의 솔루션을 구상하시는게 아니라면 시작부터 굳이 그런 규모를 염두하는것은 그다지 추천되는 상황은 아닌듯 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ildoneshot님.

Docker 기반으로 강의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궁금증을 가지신 것 같아 그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사용의 용이성: Docker는 설치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며, 컨테이너 특성상 애플리케이션의 이식성과 일관성을 보장해 주기 때문에 시작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는 학습 목적으로도 매우 유리하여, 강의에서 Docker를 선택하게 된 주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

  2. 리소스 관리: Docker는 경량화된 컨테이너로, 시스템 리소스를 비교적 적게 소비합니다. 이는 특히 학습 환경이나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입니다.

  3. 광범위한 커뮤니티와 지원: Docker는 이미 많은 개발자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풍부한 자료와 커뮤니티 지원이 존재합니다. 문제 해결이나 추가적인 학습에 있어서도 이점이 있습니다.

  4. 산업 표준: Docker는 여전히 많은 기업과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실상의 표준입니다. Kubernetes의 경우, 물론 더 큰 시스템에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운영하는데 유리하지만, 초기 학습이나 소규모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Docker와 Kubernetes의 장단점 비교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나 커뮤니티 논의가 필요한 경우, 아래의 게시물을 참고해 볼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 Docker를 선택한 이유는 주로 학습의 용이성, 리소스 효율성, 그리고 널리 사용되는 산업 표준으로서의 입지 때문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솔루션을 구동하는 것도 충분히 적합하리라 생각됩니다. 추후 Kubernetes로 전환을 고려하실 경우에도 Docker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큰 도움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mildoneshot님의 프로필 이미지
mildoneshot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