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JUNI님의 프로필 이미지
JUNI

작성한 질문수

FreeRTOS 프로그래밍

LCD 프로젝트에 상호배제 추가하기

상호배제 후 되지를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작성

·

13

0

상호배재 추가 이후 디버깅을 해보니
send함수에서
SemaphoreHandle_t mutex_id;

디버깅이 되지를 않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UNI님, 세마포어를 사용하여 상호 배제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셨군요. 세마포어를 이용한 디버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세마포어 초기화 여부 확인: SemaphoreHandle_t 타입의 mutex_id가 올바르게 초기화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세마포어는 생성 함수인 xSemaphoreCreateMutex() 또는 xSemaphoreCreateBinary()를 통해 생성되어야 합니다.

  2. 세마포어가 NULL인지 확인: 세마포어 초기화 후 NULL인지 여부를 꼭 체크합니다. 만약 NULL이라면 세마포어가 생성되지 않은 것이므로 원인을 찾기 위해 메모리 할당 문제 등을 점검해보세요.

  3. 세마포어 획득/반환 절차 확인: 세마포어를 획득하는 xSemaphoreTake()와 세마포어를 반환하는 xSemaphoreGive()의 사용 방법을 확인하고, 실제로 호출이 이뤄지고 있는지 디버깅으로 한 단계씩 추적해 보세요.

  4. FreeRTOS 설정에 문제 여부 확인: FreeRTOSConfig.h 파일의 설정값들, 특히 세마포어 관련 설정들이 올바른지 확인해 보세요. 설정값이 잘못된 경우 운영체제가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디버깅 출력 및 로그 확인: 디버깅 도구의 로그 기능을 사용하여 특정 코드라인에서의 변수 상태와 함수 호출 여부를 점검해보세요. 이를 통해 어느 지점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세마포어와 관련해 참조할 만한 기존 질문들로는 다음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세마포어 xSemaphoreTake 휴면상태 문의”에서는 세마포어와 태스크 상태 전이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 “세마포어, 뮤텍스 초기값 질문”에서는 세마포어와 뮤텍스의 초기 설정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코드나 구체적인 상황을 포함하여 다시 문의주시면 더 나은 조언을 드릴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JUNI님의 프로필 이미지
JUNI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