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potentialk님의 프로필 이미지
potentialk

작성한 질문수

[코드팩토리] [초급] 8시간만에 끝내는 코드팩토리의 Typescript 완전정복 풀코스

ts강의 42. override 마지막즘 질문

작성

·

13

·

수정됨

0

코드팩토리 디스코드에 질문하면 더욱 빠르게 질문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코드팩토리 디스코드]
https://bit.ly/3HzRzUM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class PropertyParent2{
    name: string | number;

    constructor(name: string | number) {
        this.name = name;
    }
}

class PropertyChild2 extends PropertyParent2{
    name?: string;

    constructor(name: string) {
        super(name);
        this.name = name;
    }
}

이 경우에 PropertyChild2의 name? property에 에러가 뜹니다
string |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string | number라고 뜹니다
제 ide 설정(webstorm)이나 tsconfig 설정 때문에 name? 이 자동으로 string | undefined로 타입 유추가 되는 건가요?

tsconfig에서
"exactOptionalPropertyTypes": true,
"strict": true,

로 되어있고 첫번째 옵션은 끄거나 켜도 달라지지 않고
strict는 키면 같은 에러가 나고 끄면 클래스 명에서 child의 property가 optional이라서 안된다고 뜨네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potentialk 님께서 클래스 상속과 타입스크립트(TypeScript)의 strict 옵션과 관련된 질문을 주셨네요. 질문을 보니, 타입스크립트에서 옵셔널 체이닝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strict’ 옵션을 활성화하면 타입 간 호환성을 보다 엄격하게 검사하게 되며, exactOptionalPropertyTypes 옵션은 정확한 옵셔널 프로퍼티 타입을 검사하게 설정합니다.

  1. name?를 사용하면 name의 타입은 string | undefined로 추론됩니다. 따라서 부모 클래스의 name 타입인 string | number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strict 모드에서는 모든 타입 차이에 대해 정확히 검사하므로, string | number 타입은 string | undefined 타입과 정확히 맞지 않다고 판단될 때 오류가 발생합니다.
  3. 옵셔널 체이닝을 제거하거나 PropertyChild2name 프로퍼티를 string | number | undefined로 선언한다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와 관련된 유사한 질문을 참고하시면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위의 링크를 통해 비슷한 문제의 해결방법을 참고하시고, 진행하던 과제에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potentialk님의 프로필 이미지
potentialk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