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
0
5-4 강의를 보고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4분 즈음에 In절로 가져오는게 너무 많은 양이면 결국 쿼리 수가 많아진다는게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In절로 너무 많은 양을 가져왔을 때 불필요한 데이터가 많아져서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는거지, 오히려 쿼리수는 감소하는거아닌가요?
앞서 계속 강의를 그렇게 이해하다가 24분 즈음 하신 말씀때문에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신나는 라이언님.
N+1 문제와 관련하여 강의를 듣고 혼동이 생기신 걸로 보이네요. N+1 문제는 데이터베이스 쿼리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특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조인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를 가져올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인데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들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기본 개념:
IN 절과 쿼리 수:
강의 내용 해석:
Optimizing Query: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호출을 줄이고 필요한 데이터만 정확히 가져올 수 있도록 각 상황에 맞게 적절한 쿼리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코드와 쿼리 이해 강화: 수업 자료를 다시 참고하여 어떤 맥락에서 강사님께서 말씀하신 것인지 이해하고, 예제 코드를 통해 직접 실습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관련 토픽에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다음의 유사한 질문을 다룬 게시글을 참고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립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