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KMS님의 프로필 이미지
KMS

작성한 질문수

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공통] 2급 24회 시험 리뷰 4

24회 시험 chatgpt의 설치 삭제 시간 관련 질문 있습니다

작성

·

21

0

안녕하세요 강사님. 24회 시험의 3번 문제에 관한 의문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1. 시험에서 chatgpt, perplexity 두개의 프로그램의 흔적이 남아 있었는데, 해당 시나리오에서 ai 이미지를 제작한 제작자가 만든 이미지가 두 프로그램 중 어떤 걸로 만들어졌는지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1. 실제로 사용한 프로그램이 chatgpt 가정합시다. 프로그램 설치시간 / 마지막 실행 시간 / 삭제된 시간 을 각각 알아내는 게 문제였습니다. 강의에서는 레지스트리/윈도우즈 이벤트로그/NTFS Log Tracker/Prefetch 등 다양한 곳에서 교차검증이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시간이 부족하다면 우선순위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2.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간을 추정해도 괜찮을지 평가 부탁드립니다.

프로그램 설치시간 => "NTFS log 에 나온 ChatGPT installer.exe의 pf 파일의 생성시간" -> 특히 설치 중간에 갑자기 exe 파일을 닫고 나중에 다시 설치하는 경우라면 틀릴 거 같아요.

 

마지막 실행시간 => "윈도우즈 프리패치에 남아있는 CHATGPT.exe의 pf 파일에 있는 last run time"

 

프로그램 삭제시간 => "ChatGPT uninstaller.exe 파일의 last run time"

 

  1. 레지스트리와 이벤트로그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이 너무 복잡한데 쉽게 이해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무조건 경로를 암기해야 하나요?

 

 

 

답변 2

0

KMS님의 프로필 이미지
KMS
질문자

추가 질문 있습니다. 최근 판례 강의를 보면서 공부하다 보니,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2급 공식 실기 문제집에 나온 판례들이 최근 시험에 출제가 되고 있더군요. 강사님도 그 교재를 참고해서 강의를 찍고 계시는 건지 궁금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KMS 님의 질문에 대해 유사한 내용을 다룬 기존 답변을 찾았습니다. 디지털 포렌식에서의 분석 절차와 프로그램 설치/삭제 시간에 대한 판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프로그램 사용 여부 확인:
    시나리오에서 AI 이미지 제작자가 사용한 프로그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실행 흔적을 검토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 키 확인, 프로그램 파일의 접근 시간 및 설치/실행 로그 등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유사한 사례에서 디지털포렌식에서 로그 분석의 중요성 게시물에서는 프로그램 사용 흔적을 추적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2. 설치, 실행, 삭제 시간 우선순위:
    시간이 부족하다면 우선 NTFS 로그와 프리패치 데이터를 활용한 크로스체크를 권장합니다. NTFS 로그는 파일 생성 및 삭제에 관한 정보를, 프리패치는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를 제공합니다. 윈도우즈 이벤트 분석 등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빠르게 캐치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시간 추정 방법 평가:

    • 프로그램 설치시간: NTFS 로그에서 .exe 파일 생성 시간 확인은 맞습니다. 다만, 설치 중단 후 재시작한 경우 NTFS 로그 외에도 설치 전후의 다양한 로그를 참조해야 오차가 줄어듭니다.
    • 마지막 실행시간: 프리패치에서의 last run time 근거는 타당합니다. 이는 프로그램 실행 시점을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삭제시간: Uninstaller의 실행 로그는 삭제 시간 추적으로 적합합니다. 실제 삭제 로그들을 교차 검증하면 좋습니다.
  4. 레지스트리 및 이벤트 로그:
    경로를 모두 암기하기보다는 자주 사용하는 키와 이벤트 ID를 리스트화하여 참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레지스트리 활용의 기본 원리에 대해 다루는 게시물들이 있습니다. 각 방법론의 원리를 이해하면 암기보다는 흐름에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디지털 포렌식에서의 분석은 많은 정보와의 싸움입니다. 위의 정보를 토대로 각 방법의 순서를 정리하고 중요한 점들에 익숙해지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KMS님의 프로필 이미지
KMS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