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
답변 2
0
안녕하세요. 박상우님!
필요하다면 main 함수 시작 직후 c runtime heap 영역에 malloc 이나 new 로 큰 메모리 블럭을 할당하시고 그 영역을 bss 에 할당하고 있는 것처럼 freertos 용 동적 메모리 풀을 선언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FreeRTOSConfig.h
#define configAPPLICATION_ALLOCATED_HEAP 1
#define configTOTAL_HEAP_SIZE (100 * 1024)
// main.c
uint8_t *ucHeap; // extern으로 선언된 ucHeap을 위해
int main(void) {
// C 런타임 heap에서 할당
ucHeap = (uint8_t*)malloc(configTOTAL_HEAP_SIZE);
if (ucHeap == NULL) {
// 할당 실패 처리
while(1);
}
// 이제 FreeRTOS는 malloc된 영역을 ucHeap으로 사용
xTaskCreate(...);
vTaskStartScheduler();
return 0;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상우님.
FreeRTOS에서의 메모리 할당과 관련하여 질문해주셨네요. FreeRTOS에서는 malloc/free 대신 동적 메모리 할당을 위해 pvPortMalloc/vPortFree 같은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 함수들은 FreeRTOS의 설정에 따라 bss 영역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힙 영역에서 메모리를 할당받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FreeRTOS는 다양한 힙 관리 매커니즘을 제공하며, 이 중 어느 것이 사용되는지는 설정 파일(FreertosConfig.h)과 선택한 힙 관리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관련 답변을 참조해 보시면 더욱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이 두 링크에서는 FreeRTOS에서의 메모리 할당과 관련된 더 깊이 있는 설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힙과 bss에 대한 차이와 동작 방식에 대해 더 명확하게 이해하시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