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hlendud00님의 프로필 이미지
chlendud00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정리

DB 국제화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작성

·

25

·

수정됨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

[질문 내용]
예전에 국제화 강의도 들었습니다.
고정값은 properties를 통하여 국제화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에서 국제화를 진행중인데
고정값같은 경우는 프론트에서 국제화를 진행하기로 하였고
게시글같은 경우는 따로 번역을 하여서 백엔드에서 들고있기로 하였는데
그렇게되면 기존 DB 구조를 바꿔야할것같아서요.
어떻게 보통 실무에서 많이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인터넷에서는 정보가 없어서요.
예시같은것을 들어주시면 이해가 좀 될거같습니다.
게시글 테이블로 title, content가 국제화가 된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왜 그 방법을 사용하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영한님께서 답변하신 연관된 링크를 보았는데 이해가 가지 않는것도 있습니다.
https://inf.run/MSJjn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hlendud00님.

국제화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하는 것은 특히 게시글과 같은 콘텐츠에서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1. 다국어 컬럼 사용:

    • 하나의 테이블에 여러 언어로 된 컬럼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title_en, title_ko, content_en, content_ko 등의 형식으로 각 언어에 맞는 컬럼명을 생성합니다. 이 방법은 특정 언어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별도의 번역 테이블 사용:

    • translation 같은 별도의 테이블을 만들어 기본 콘텐츠 테이블과 관계를 맺습니다. 이 테이블에는 content_id, language_code, translated_title, translated_content 등을 컬럼으로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테이블의 구조를 깔끔하게 유지하면서도 다국어 지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3. JSON 형식 사용:

    • 데이터베이스에서 JSON 형식을 지원한다면, 하나의 컬럼에 모든 번역 정보를 JSON 객체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translations 컬럼에 {"en": {"title": "Title", "content": "Content"}, "ko": {"title": "제목", "content": "내용"}} 같은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유연성이 높지만, 검색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실무에 따라 위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시면 됩니다. 각 접근 방식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프로젝트의 규모와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하시면 좋습니다.

또한, 김영한님이 답변하신 게시글을 잘 참고하셔서 프로젝트에 맞는 최적의 해결 방법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chlendud00님의 프로필 이미지
chlendud00
질문자

  1. 실무에서는 어떤 방법을 제일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2. 아래 제가 고민했던것인데 이렇게 되면 하나의 테이블에 몰아서 하게 되는데 불편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고

스크린샷 2025-10-17 오후 5.51.04.png

안녕하세요. chlendud00님, 공식 서포터즈 David입니다.

  1. 제 경험 안에서 답변드리면, 실무에서 properties를 활용하거나 공유하신 글 답변에서 영한님이 남기신 방법을 사용하거나 실시간 기계번역을 활용하였습니다.

  2. 고민하신 부분 중 Translation 테이블이 영한님이 답변을 남기신 방법입니다. 어떤 부분이 불편한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저도 함께 고민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hlendud00님의 프로필 이미지
chlendud00
질문자

  1. 2번으로 고민중이긴한데 각 테이블에 대응되는 Translation을 두는 방법도 있는데
    단일 Translation, 각 테이블에 대응하는 Translation 둘중 어떤것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
    장단점을 알고싶어요.

     

  2. 그리고 properties는 고정값일때만 사용하지 않나요? 제가 사용하고싶은 대상은 게시판같이 테이블을 두는 경우라

chlendud00님의 프로필 이미지
chlendud00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