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7
0
안녕하세요,
보통 IP에서 레지스트리(HKLM\SYSTEM\ControlSet001\Services\Tcpip\Parameters\Interfaces\)로 확인된 IP는
cmd 창에서 ipconfig or netstat 해서 확인되는 IP와 동일한데요,
네이버창에서 내 IP했을 때 나오는 IP랑은 상이한데
위 IP는 외부로 보여지는 IP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누가 할당하는 건가요? 통신사에서 할당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토렌트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되는 IP는 내 PC에서 설정된 IP or 외부 IP 어떤 건가요?
너무 기초적인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now-06님!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 레지스트리 및 ipconfig등으로 확인한 IP주소 : 사설IP로 내부적으로만 사용되는 IP 주소
2) 네이버의 '내 ip찾기', 토렌트 프로그램에서 확인한 IP : 공인IP로 외부에서 접속가능한 공식적인 IP주소
입니다.
네이버등에서 확인한 ip가 실제적으로 외부에서 나에게 접속가능한 실제 IP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사설ip는 내부적으로만 사용가능한 ip라고 생각해주세요.
예를 들어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SKB,KT,LGU+등)에 가입을 해야하죠? 일반적인 가정집의 경우 1회선을 제공을 받습니다.(물론 필요에 따라서 회선을 추가할수는 있겠죠)
1회선이라는 말은 사실상 ip 1개를 부여받는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단순히 생각하면 ip가 1개이니 이용할수 있는 기기도 1개여야 맞겠죠?
그런데 PC, TV, 기타 무선기기들까지 동시에 접속되어 사용하는 기기들이 많다보니
1개의 회선을 나눠서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서 인터넷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한 1개의 회선을
내부적으로 나눠서 사용을 합니다.
가장 흔한 예가 공유기이죠.(물론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OS에서 내부적으로 사설ip가 부여되기는 합니다)
공유기 등을 이용해서 접속하는 기기마다 내부적으로만 사용하는 IP를 부여해서 사용하게 하는데
이게 사설 IP입니다. 일반적으로 192.168.***.*** 형태로 볼 수 있는 ip입니다.
이 IP는 내부적으로만 사용가능한 가상의 ip라 생각해주세요.
반면에 네이버등의 포털에서 내ip주소 찾기 등을 이용해서 확인가능한 ip는 공인IP입니다.
사설ip와 달리 가상이 아닌 실체가 있는 ip라 생각하시면 되며,
이런 공인 IP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업체(SKB,KT,LGu+등)에 가입하게 되면 부여가 됩니다.
다만 일반적인 가정에서 부여받는 IP는 IP주소가 고정이 되어있지않고 접속할때마다 변동이 될 수 있는데, 이와 반대로 언제 접속해도 동일한 IP가 고정IP로, 일반가정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요청해서(비용이 더 비싸죠) 회사나 기관 등에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이런 고정 IP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인데,
외부에서 내 네트워크로 접속을 하게끔 만드는 경우(접속할때마다 ip가 달라진다면 그때마다 알려야하니까),
특정 웹사이트나 기타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을할때 기존에 승인된 IP만 접속이 가능한 경우 등을
위해서 사용합니다.
질문주셨던 내용중 ip할당은 누가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드리면,
가입한 통신사에서 할당을 합니다.
네이버의 내 ip주소 찾기에서 확인한 ip는 통신사에서 할당한 ip로
이 주소를 복사해서 whois 검색(https://whois.nic.or.kr)을 통해 조회해보시면
가입하신 통신사의 정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또한 토렌트처럼 외부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공인IP로 접속을 하게 됩니다.
(192.168.*.* 처럼 사설ip는 내부에서만 사용합니다 !)
그리고 질문주실때 죄송하실 필요 전혀 없습니다!
입문자를 위한 강의인만큼 아주 기초적인 질문이라도 걱정마시고 질문주세요~
그러시려고 비싼 수강료 내고 강의를 들으시는거니까요!
오히려 딥한 질문 주시면 제가 답변을 드리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now-06님께서 질문해 주신 IP에 대한 개념은 네트워크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각기 다른 상황에서 IP가 어떻게 다르게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레지스트리 및 CMD에서 확인되는 IP:
ipconfig
명령어를 통해 확인되는 IP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로컬 IP입니다. 이 IP는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에서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통해 자동으로 할당받거나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내부 네트워크에서 각 기기 간의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웹 브라우저에서 ‘내 IP’ 검색 결과:
토렌트 프로그램에서의 IP:
공유된 게시글에서 유사한 답변: Autopsy에서 DHCP, IP 확인 방법 및 hwp 내부구조 확인방법 예제에서는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점이나 각각의 사용범위에 대한 개념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상황을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립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