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0
0
안녕하세요...
top menu를 depth로 2단계 까지만 표현하고.
left menu를 3~4단계를 표현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상태값으로 zustand를 사용합니다.
top메뉴 컴포넌트에서 zustand값을 사용해야해서 use clinet로 하고.
useEffect로 메뉴 정보를 가져온 다음
zustand로 메뉴 정보를 set하고 set할때 topmenu와 leftmenu 상태값으로 각각 set합니다.
문제는 처음 가지고 올때는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데....리플레쉬를 하거나 계시판을 페이지 이동을 하면 top 메뉴가 재구성 될때 너무 깜빡거리면서 이상하게 되네요. react로 할때는 이렇게 깜빡거리지는 않았는데...
도저히 이유를 모르겠네요...T.T
원인이 뭘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shoncg님 이정환입니다.
엇.. 본 강의에서는 zustand를 사용하지 않는데 혹시 질문을 잘못 올리신게 아닌지 다시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만약 개인 프로젝트에 관련된 질문이라면 현재 말씀해주신 내용 만으로는 정확한 원인 파악이 어렵습니다 ㅠㅠ 워낙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어서요 조금 더 구체적인 문제 상황을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honcg님.
현재 말씀하신 문제는 Next.js의 서버/클라이언트 간의 렌더링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특히, CSR과 SSR이 혼재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zustand)를 사용하는 경우, 이런 깜빡거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확인해볼 수 있는 사항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상태 초기화 문제: 처음에 설정한 Zustand의 상태가 예상치 못한 시점에 재설정되면서 깜빡거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태가 초기화되거나 변하는 시점을 useEffect를 통해 콘솔에 로깅하여 상태 변화가 예상대로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해 보세요.
클라이언트/서버 렌더링 차이: Next.js는 서버 측에서 HTML을 미리 생성하기 때문에, 초기에 zustand 상태가 없거나 초기 상태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첫 렌더링 후 상태가 바뀌며 깜빡거릴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초기 상태를 설정하거나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온 후 상태를 설정해주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useEffect 의존성 배열 설정: useEffect에 의존성 배열을 설정하여, 의도하지 않은 상태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주세요. 예를 들어, 의존성 배열에 zustand
의 상태 변경 함수나 데이터 호출 함수 등을 넣어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CSR로 전환: 만약 위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깜빡거림이 심각하게 느껴질 경우 특정 컴포넌트를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방식으로 변경하여 테스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Next.js에서 dynamic import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 컴포넌트만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렌더링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도움이 될 수 있는 비슷한 이슈에 대한 토론 및 해결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 Next.js에서 상태 관리와 깜빡임 이슈 해결하기
해당 내용들이 질문자님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내용이 맞지 않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 더 자세한 부분과 함께 이어서 질문해 주시면 더 구체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