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djccnt15님의 프로필 이미지
djccnt15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프록시 기술과 한계 - 스프링의 해결책

final 키워드 사용 관련 질문

작성

·

15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프록시 기술과 한계 - 스프링의 해결책 강의에서

프레임워크 같은 개발이 아니라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final 키워드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라고 하셨는데요, 다른 자료로 공부할 때 유틸 함수를 모아두는 유틸 클래스의 경우에는 상속이나 오버라이드를 막기 위해서 final 클래스와 static 메서드 등으로 사용하는 것도 좋다고 배웠습니다.

영한님께서는 유틸 기능들도 순수 자바 클래스/메서드 보다는 스프링 컴포넌트로 관리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시는 편인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jccnt15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final 키워드 사용의 장점과 스프링 컴포넌트 사용 및 관리 측면에서의 이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질문으로 보입니다.

스프링 개발에서는 보통 final 키워드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는 강의 내용은 일반적인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할 때의 이야기로 주로, 이는 확장성을 염두에 두기 때문입니다. final 키워드를 사용하면 클래스나 메서드의 상속과 오버라이드를 방지합니다. 이는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유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유틸리티 클래스에 대한 예시는 다른 상황을 의미합니다. 유틸리티 클래스는 기능적으로 독립적이기에 static 메서드와 final 클래스로 만드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인스턴스화를 피하고, 해당 클래스의 목적이 변경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스프링 컴포넌트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유틸리티 기능이 스프링 컨텍스트에서 빈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스프링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단순한 유틸리티 기능은 스프링 컴포넌트로 관리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습니다.

유사한 질문과 답변이 있었던 적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래밍에서 final, static, final static의 차이와 사용 이유: 이 질문에서는 ‘final’과 ‘static’ 키워드의 차이와 그 사용 이유를 설명합니다.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djccnt15님의 프로필 이미지
djccnt15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