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1
1
안녕하세요. 박살님
네, 괜찮습니다. 스레드가 생성되고, 시작되고, 중간에 다른 작업으로 인해 대기하며, 결국 종료되는 큰 그림을 이해하고 테스트하는 목적이라면 닷넷으로 코드를 작성해도 동일한 원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스레드라는 것이 OS가 제공하는 것 기반이니까요.
다만, 특정 상태(BLOCKED vs WaitSleepJoin)를 정밀하게 추적하거나 각 플랫폼의 스레드 관련 API(synchronized vs lock)의 미묘한 동작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해당 플랫폼에 맞는 도구와 코드로 테스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감사합니다.
확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