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Nicou님의 프로필 이미지
Nicou

작성한 질문수

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이력서 작성에 대한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23

·

수정됨

0

강사님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신입 개발자로 이력서를 준비하며 몇 가지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1. 이력서는 간결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한 프로젝트당 설명은 보통 어느 정도 분량이 적절할지 궁금합니다. A-B-C 패턴처럼 결과 위주로 간결하게 쓰는 게 좋은지, 배운 점까지 포함하는 게 나을지 고민됩니다.

 

2. 강의를 듣고 기존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하려고 하는데, 이 경우 프로젝트 기간과 개선 기간을 따로 구분해 써야 할지, 아니면 하나로 묶는 게 더 나을지 구성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3. 성과 수치화 외에 신입 개발자 이력서에서 눈길을 끄는 프로젝트 작성 방식이나 구조가 있었다면 어떤 게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딩코딩코님의 프로필 이미지
딩코딩코
지식공유자

Nicou님 좋은 질문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입 이력서 준비하시는군요. 실제 서류 통과하는 이력서들 보면서 느낀 점들 같이 정리해드릴게요.

  1. 프로젝트 설명 분량은 얼마나 하는게 좋을까

우선 신입 기준으로 프로젝트 하나당 3-4줄 정도가 적당합니다. 많아야 5줄까지요.

핵심은 말씀해주신대로 A-B-C 패턴입니다!

  • A(문제): 어떤 상황이었나

  • B(해결): 뭘 어떻게 했나

  • C(결과): 수치로 어떻게 개선됐나

배운 점은 이력서에 쓰지 마세요. 면접 준비용으로만 따로 정리하세요. 왜냐하면

  • 이력서는 "결과"를 보여주는 문서

  • 배운 점은 "과정"이라 공간 낭비

  • 면접에서 물어보면 그때 답변하면 됩니다!

 

예시:

너무 긴 설명: "상품 조회 API의 성능이 느려서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았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DB 쿼리를 분석했고, 인덱스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적절한 인덱스를 추가하여 성능을 개선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DB 최적화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적절한 분량: "상품 조회 API 응답시간 5초 문제 발견. slow query log 분석하여 인덱스 누락 확인 후 복합 인덱스 추가. 평균 응답시간 85% 단축 (5s → 0.7s), 피크타임 서버 부하 40% 감소."

3줄인데 문제-해결-결과가 다 들어있다면 좋은 이력서입니다.

 

2. 리팩토링 기간 구분은?

하나로 묶되, 개선 과정을 강조하세요. 이렇게 구성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프로젝트 제목: "재고 관리 시스템 (2024.03 - 2024.06, 이후 성능 개선 진행)"

설명: "초기 구현 후 부하 테스트에서 동시성 문제 발견. 비관적 락 적용으로 재고 불일치 100% 해결. 이후 Redis 캐싱 추가로 조회 API 응답시간 70% 단축."

이렇게 쓰면

  • 프로젝트를 완성한 후 개선한 것처럼 보임

  • "문제 발견 → 해결"의 성장 스토리가 됨

  •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태도가 보임

     

3. 신입 이력서에서 눈길 끄는 요소

서류 리뷰하면서 "오, 이 사람 괜찮네"라고 생각했던 케이스들이에요

문제 해결 과정이 보이는 경우가 좋습니다

단순 기능 나열이 아니라 "문제 상황 → 분석 → 해결 → 결과" 흐름이 보이는 이력서. 예를 들어

"게시판 CRUD 구현" (평범함) (X)

"게시글 목록 조회 시 N+1 문제로 10초 소요. fetch join으로 단일 쿼리 변환하여 1.2초로 단축" (O)

 

기술 선택 이유가 명확한 경우도 매우 좋습니다

"Redis 캐싱을 적용했습니다" (X)

"조회 빈도가 높고(초당 50회) 변경이 적은 상품 데이터 특성상 Redis 캐싱 적용. TTL 5분 설정으로 DB 부하 60% 감소" (O)

왜 이 기술을 썼는지, 비즈니스 맥락과 연결해서 설명하면 "생각하는 개발자"로 보입니다.

지금 프로젝트 리팩토링하시는 거 정말 좋은 방향입니다. 개선 과정을 잘 기록하고, 수치로 정리해서 차별화된 이력서 만들어보세요. 화이팅해보시져!!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Nicou님.

이력서 작성에 대해 궁금해하신 부분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신입 개발자로서 이력서 작성 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팁을 제공해드리겠습니다.

1. 프로젝트 설명 작성 분량

이력서는 간결하면서도 명확하게 프로젝트 경험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A-B-C 패턴을 추천드립니다. 이 방법은 ‘Action’(무엇을 했는지), ‘Benefit’(그로 인해 어떤 결과가 있었는지), ‘Conclusion’(배운 점)을 간단히 설명하는 방식입니다. 결과와 배운 점을 함께 포함시키면 프로젝트의 의도를 더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2. 프로젝트와 리팩토링 기간 구분

기존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하는 경우, 프로젝트 기간과 개선 기간따로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리팩토링의 목적과 성과를 치밀하게 보여주는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A (2023.01~2023.04)’와 ‘리팩토링 A (2023.05)’ 같은 방식으로 구별하면 각 과정의 중요성을 명확히 드러낼 수 있습니다.

3. 눈에 띄는 프로젝트 작성 방식

  • 구체적인 수치화: 프로젝트를 통해 달성한 구체적인 성과를 수치로 표현하세요. 예를 들어, “응답 속도를 20% 줄였습니다” 같은 수치화된 성과는 HR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합니다.

  • 문제 해결 과정: 단순한 설명보다는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 어떤 가치가 있었는지를 강조하세요.
    예를 들어,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UI를 개선하여 사용자 로열티를 높였습니다” 같은 서술이 있습니다.

  • 기술 스택 하이라이트: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기술 스택을 명확히 나열하고, 해당 기술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설명하세요. 이는 기술력 및 관련 경험을 어필하는 데 유용합니다.

추가 조언

  • 단순히 기술 나열에 그치지 않고, 특정 기술을 사용한 이유와 그로 인한 결과를 설명하세요. 이러한 설명은 개발자로서의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 신입 개발자로서의 잠재력을 강조: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나 스킬을 얻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보일 수 있도록 작성하세요.

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원하신다면 다음 링크도 참고해 보세요:
- 질문 제목: 이력서에 프로젝트 설명 작성 방법이 궁금해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Nicou님의 프로필 이미지
Nicou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