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최수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수연

작성한 질문수

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낙관적락vs. 레디스락

작성

·

18

0

충돌 빈도가 낮지만 피크 타임에 스파이크가 있는 서비스라면, “낙관적 락+재시도”와 “레디스 락” 중 어떤 구성이 유지보수/비용/성능 면에서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최상용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상용
지식공유자

최수연님 안녕하세요.
비즈니스로직이 어떤지에 따라 성능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값은 서비스별로 성능테스트를 통해 확인 해야할듯합니다.

여러개의 데이터를 제어해야 한다면 레디스 락이 좋을듯하고, 1개의 데이터만 제어한다면 낙관적락 + 재시도를 통해 제어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최수연 님의 질문을 토대로, 낙관적 락과 레디스 락의 사용에 대해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제공하는 링크를 찾아보았습니다.

낙관적 락과 레디스 락은 각각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낙관적 락: 낙관적 락은 충돌이 적고, 데이터베이스 락을 최소화하여 성능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피크 타임에 스파이크가 있는 서비스에서도 낙관적 락을 사용하고 재시도를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충돌이 발생하면 재시도가 필요하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레디스 락: 분산 환경에서 여러 노드에 걸쳐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레디스 락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성능상 이점을 제공하는 반면, 비용 측면에서는 레디스를 운영하고 유지보수하는 부분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해설을 제공하는 유사한 질문들입니다:

  • 비관적락 vs 레디스 락: 이 답변에서는 레디스 락이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의 장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낙관적락 vs 네임드락: 낙관적락과의 비교에서는 충돌 관리와 재시도 로직 구현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 비관적락을 사용하는 경우: 질문에서는 비관적 락과의 차이점 및 중복 저장 관리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링크를 통해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최적의 솔루션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최수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수연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