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Juan (박정환)님의 프로필 이미지
Juan (박정환)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pring에서 SessionScope와 RequestScope는 함께 사용되나요?

작성

·

17

1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Spring에서 SessionScope와 RequestScope는 실제로 어떤 관계로 동작하나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에도, 각 요청(Request)마다 RequestScope 빈이 새로 생성되는 구조인가요?

아니면 JWT 기반 인증처럼 세션과 관계없이 매 요청마다 인증 로직이 수행되는 방식인가요?

또 실제 실무에서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상태를 SessionScope로 유지하면서 RequestScope 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uan님께서 질문하신 SessionScope와 RequestScope에 대한 관계와 동작 방식에 대한 내용을 보니, 이 주제에 대해서 더 많은 이해가 필요하신 것 같습니다. 각각의 스코프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의 빈 생명주기를 다르게 정의합니다.

Spring에서의 Scope 개념

  1. RequestScope: HTTP 요청마다 새로운 빈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즉, 사용자가 요청을 보낼 때마다 해당 스코프의 빈은 새로 생성되어야 하며, 요청이 끝나면 사라집니다. 이는 주로 짧은 시간 동안 필요한 데이터(예: 요청 처리에 필요한 임시 상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2. SessionScope: 사용자 세션 동안 동일한 빈 인스턴스를 유지합니다.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세션이 시작되고 로그아웃하거나 세션이 만료될 때까지 이 세션 스코프의 빈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주로 로그인 상태 등 장기적인 사용자 상태를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 개의 스코프 사용 예

  • SessionScope와 RequestScope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실무에서는 사용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SessionScope를 사용하며, 각 HTTP 요청마다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RequestScope 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SessionScope를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 세션을 유지하면서, 각 요청마다 생성되는 RequestScope 빈을 이용해 HTTP 요청 간 임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JWT 기반 인증과 비교

  • JWT 기반 인증은 각 요청에서 토큰을 통해 인증을 처리하며 서버에 세션을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Stateless 방식입니다. 반면 SessionScope는 서버에 상태 정보를 유지하는 Stateful 방식 입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두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관련 질문에서 더 깊이 있는 답변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 보세요:
- Spring Security의 Session vs JWT 인증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Juan (박정환)님의 프로필 이미지
Juan (박정환)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