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zxcvb0609님의 프로필 이미지
zxcvb0609

작성한 질문수

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5-1. 5주차에 배울 것

구현/시뮬레이션 문제에 대한 준비 방법이 궁금합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28

0

안녕하세요.
딩코딩크님의 강의를 듣고 코딩 테스트를 준비 중인데 구현/시뮬레이션으로 분류되는 문제들에 대한 대비 방법이 궁금합니다.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더라도 구현 조건이 복잡해지는 경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문제를 많이 풀어봐도 구현 능력이 올라간다는 느낌을 받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2

0

딩코딩코님의 프로필 이미지
딩코딩코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zxcvb 님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구현/시뮬레이션 문제가 가장 답답한 게, 알고리즘은 알겠는데 "조건 처리"가 복잡해서 막히는 거잖아요. 저도 똑같은 고민 많이 했어요.

  1. 구현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훈련법

     

문제를 다음과 같이 이렇게 정리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A(데이터) B(행위) C(결과)

"A라는 데이터를 잘 조작해서, 조건들(1, 2, 3...)을 갖고, B라는 행위를 통해, C라는 결과를 구하고 싶은데 한 번 해보시죠!"

예를 들어 "로봇이 격자판을 이동하면서 아이템을 먹는" 문제라면:

  • A: 격자판, 로봇 위치, 아이템 위치 (2차원 배열로 저장)

  • 조건: 이동 규칙, 벽 체크, 범위 체크

  • B: 시뮬레이션 (로봇을 실제로 움직여보기)

  • C: 먹은 아이템 개수

이렇게 정리하고 시작하면 훨씬 명확해집니다

  1. 패턴 파악이 핵심

이게 진짜 중요한데요, 감이 안 오면 손으로 예시를 3~10개 써보세요.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문제에서 "로봇이 동쪽으로 2칸, 북쪽으로 1칸 이동"이라는 명령이 있다면:

예시 1: (0,0)에서 동쪽 2칸 → (2,0), 북쪽 1칸 → (2,1) 예시 2: (1,1)에서 동쪽 2칸 → (3,1), 북쪽 1칸 → (3,2)
예시 3: (0,3)에서 동쪽 2칸 → (2,3), 북쪽 1칸 → (2,4)

이렇게 쓰다 보면 "아, 동쪽은 x좌표 증가, 북쪽은 y좌표 증가구나. 방향별로 dx, dy 배열 만들면 되겠다!" 패턴이 파악됩니다. 물론 이 패턴에 대한 것도 결국 문제를 여러가지 풀어봐야 더 체득이 되실거에요

  1. "일단 구현한다" 마인드

처음부터 깔끔한 코드 짜려고 하지 마세요. 일단 동작하는 코드를 만드는 게 목표예요.

나쁜 접근: "어떻게 하면 한 번에 완벽하게 짤 수 있을까?" (→ 시작도 못 함) 좋은 접근: "일단 조건 1번만 처리하는 코드 짜보자. 되네? 조건 2번 추가해보자." (→ 점진적 완성)

예를 들어 "방향 전환하면서 이동" 문제면: 1단계: 일단 한 방향으로만 쭉 이동하는 코드 2단계: 방향 전환 로직 추가 3단계: 경계 체크 추가 4단계: 리팩토링

이렇게 단계별로 구현하면 훨씬 쉽습니다

  1. 시뮬레이션은 "진짜로" 시뮬레이션하기

복잡한 시뮬레이션 문제일수록 "머릿속"으로 생각하지 말고 "종이 위"에 그려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로봇이 명령에 따라 이동" 문제면

  • 종이에 격자 그리고

  • 로봇 위치를 표시하고

  • 명령 하나씩 따라가면서 위치 변화를 직접 그려보기

이러면 "아, 여기서 방향이 바뀌는구나. 그럼 코드로는 이렇게 짜야겠다" 감이 올 수 있습니다!

  1. "문제 많이 풀어도 안 느는" 이유

     

특정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 "이런 류의 조건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경험치를 쌓아야 해요.

예를 들어

  • "2차원 배열에서 4방향 탐색" → 이거 패턴 10번 보면 손에 익음

  • "회전/반사 변환" → 변환 행렬 만드는 법 3번 보면 이해됨

  • "범위 체크와 동시에 조건 체크" → 함수 분리 패턴 익히면 쉬움

그냥 100문제 푸는 게 아니라, "아 이 문제에서는 이런 패턴이 쓰였구나. 다음에 비슷한 거 나오면 이렇게 하면 되겠다" 하면서 패턴을 모으는 게 중요합니다!

이 배움을 문제 풀 때마다 노트에 기록하세요

  • 어떤 조건 처리가 어려웠는지

  • 어떻게 해결했는지

  • 다음에 비슷한 거 나오면 어떻게 할지

예: "2차원 배열 회전 → zip(*arr[::-1]) 사용하면 90도 회전. 다음엔 바로 쓰자"

 

구현력은 정말 "경험치 게임"이에요. 똑같은 패턴을 10번 보면 손에 익고, 비슷한 조건 처리를 20번 하면 자동으로 짜지는 순간이 와요. 지금 안 느는 것 같아도 괜찮아요. 계속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어? 이제 구현 문제가 쉽네?" 하는 날이 와요. 그때까지 패턴을 하나씩 모으면서 천천히 가보시길 응원하겠스빈다!! 같이 빠이팅해보시져!!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zxcvb0609님, 구현 및 시뮬레이션 문제에 대한 준비 방법을 고민하고 계시군요. 특히 조건이 복잡한 문제를 다루면서 어려움을 느끼신다고 하시니,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접하는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구현/시뮬레이션 문제 대비 방법:

  1. 기본 알고리즘 숙지:

    • 이해도가 좀 낮은 알고리즘들이 있다면, 이를 먼저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알고리즘 자체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그것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2. 작은 문제부터 시작:

    • 구현이 복잡한 문제를 처음부터 다루기보다는, 간단한 문제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난이도를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 ‘Hello, World!‘나 간단한 루프 구조부터 점차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진행해보세요.
  3. 문제를 단계별로 쪼개기:

    • 문제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다 해야 할 일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 마인드 맵이나 플로우 차트를 사용해서 문제 해결 과정을 시각화하면 더 도움이 됩니다.
  4. 체계적인 연습:

    • 알고리즘 문제를 단순히 많이 풀기보다는, 하나하나의 문제를 깊이 있게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예를 들어 문제를 다시 풀면서 다른 코딩 방식으로 시도하거나 메모리, 시간복잡도를 고려하여 개선해보세요.
  5. 비슷한 유형의 문제 풀기:

    • 코드플러스, 백준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특정 알고리즘 유형을 중심으로 문제를 찾아 풀어보세요.
    • 같은 유형의 문제를 반복 연습하면 패턴이 보이게 되고, 점차 구현력이 증가합니다.
  6. 코드 리뷰 요청:

    • 비슷한 목표를 갖고 있는 스터디 그룹에 참여하여 서로의 코드를 리뷰 부탁하면서 다른 사람의 관점을 배우는 것도 좋습니다.

관련하여 기존의 설명과 추가 학습 자원을 더 제공해 드리고자 합니다. 관련 질문의 답변을 다음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zxcvb0609님의 프로필 이미지
zxcvb0609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