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
0
💡 ”로펀의 인프런 상담소” 슬랙 채널 가입하기 💡
평일중에는 퇴근 이후(저녁 7시)에 답변을 받아보실 수 있고, 주말중에는 상시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User, Account, Session 같은 모델들은 @default(cuid())를 쓰시는데 Course, Section, Lecture 같은 커스텀 모델들은 @default(uuid())를 쓰시더라고요. 어떨때 cuid를 사용하고 어떨때 uuid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나 Prisma가 처음이라 관련해서 학습을 하고싶은데
어떤 내용에 대해서 공부하면 좋을지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참참나무님.
UUID와 CUID는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CUID(Chronologically Unique Identifier):
각각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프로젝트나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데이터베이스에서 비교적 빠르게 삽입 속도가 필요하고,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될 때 CUID가 선택되며, 다른 시스템과의 통합과 확장성이 요구될 때 UUID가 사용됩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와 Prisma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싶으시다면, 다음을 추천드립니다:
댓글이나 슬랙 채널에서 질문을 이어나가 주시면 상세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