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7
0
https://knock-on.org 로 send()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https://www.knock-on.org
로 하니, 에러가 발생하지 않네요. 웹페이지 구성이 변경되어서 그런걸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https://www.knock-on.org 로 요청을 했을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현재 origin이 knock-on.org 가 아닌 www.knock-on.org 라서 발생하는 문제인 듯 합니다.
실제로 chrome 개발자 도구에서 network 탭을 연 뒤 https://knock-on.org 로 접속을 시도하면
서버단에서 www.knock-on.org로 301 redirect를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오리진은 knock-on.org 가 아닌 www.knock-on.org 가 되는 것 입니다. 강의에서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은 서버 버전이 업데이트 되었거나, 도메인 설정이 바뀌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ㅎㅎ
추가적으로 현재 오리진은 location.origin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성배님.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웹에서 발생하는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문제는 종종 웹 개발자가 직면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CORS 에러 및 해결 방법:
1. CORS 정책 이해: CORS는 웹 브라우저가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다른 도메인으로 요청을 보내는 것을 제어하는 보안 기능입니다. 브라우저는 서버가 명시적으로 허용하지 않은 한, 다른 도메인으로의 요청을 차단합니다.
2.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 서버가 이 요청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를 통해 특정 도메인이나 모든 도메인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3. HTTPS 차이: HTTPS 설정의 차이로 인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https://www.knock-on.org
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www 하위 도메인에 대해 CORS 정책이 허용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련된 유사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기존 답변이 있습니다. 참고해 주세요.
- CORS 오류 때문에 웹 요청 차단 해결 방법
이 링크에서는 CORS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다룹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