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원재님의 프로필 이미지
원재

작성한 질문수

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R

2-R 질문있습니다.

작성

·

11

0

안녕하세요 큰돌님:)

이번 문제의 로직은 좀 다르게 생각해서 푼거 같습니다. 물론 큰돌님의 예제 코드가 더 효율적이라 해당 코드로 다시 연습해보겠습니다!!

http://boj.kr/c74792f1a0264fdf9df877f3210cc613

저의 경우는 문제에서 입력에서 0번 노드부터 주어진다고 하여 따로 root노드를 저장하지 않고 무조건 0번부터 루트 노드라고 생각하고 풀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노드를 탐색해서 지워지는 노드라면 해당 노드와 그 아래 노드들(자식 노드)을 모두 벡터에 넣어 find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저의 코드는 어떤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원재님.

이번 문제를 새롭게 접근하여 해결하셨군요. 다양한 풀이 방법을 실험하면서 경험을 쌓는 것은 알고리즘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매우 도움이 됩니다.

문제에서 0번 노드를 루트 노드라고 가정하고 풀이하신 점은 올바르며, 일반적으로 트리는 DFS 또는 BFS와 같은 탐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입력에서 명시된 조건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접근하신 점에서 좋은 접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해결 방식을 최적화하기 위해, 불필요한 탐색이나 연산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벡터에 모든 노드를 넣고 find 연산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은 시간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트리 구조의 특성을 활용하여 자식 노드를 한번 방문할 때 필요한 작업을 처리하여 불필요한 반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과 답변이 있는 기존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원재님의 코드에 대한 더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을 확인하면, 본인의 코드에 대한 평가와 추가 개선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혹시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여 더 나은 방법을 찾으시거나, 기존 질문자분들의 방식도 검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게시물은 유사한 주제를 다룹니다:

  1. 2-J BFS 코드 효율성 질문
  2. 1-K 질문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원재님의 프로필 이미지
원재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