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큰돌님:)
전반적인 로직은 큰돌님과 같은거 같습니다.
http://boj.kr/42404731b4db4e979af5791ec8a400a8
큰돌님의 경우 mx에 최대값을 넣고 dp 행렬에 mx와 같은 값을 꺼내더라고요. 저의 코드는 순수 비교하면서 이전에 큰돌님이 말씀해 주신 prev를 사용해서 구축했습니다. 저의 코드는 어떤가요?
그래도 수업에서 알려주시는 걸 사용하려고 하는데...ㅎㅎ
답변 2
0
안녕하세요 원재님 ㅎㅎ
저의 코드는 순수 비교하면서 이전에 큰돌님이 말씀해 주신 prev를 사용해서 구축했습니다. 저의 코드는 어떤가요?
-> 너무 좋네요 ㅎㅎ
자식 수를 판단하는 f를 기반으로
int f(int b){
visited[b] = 1;
int cnt = 0;
cnt++;
if(v[b].size() == 0) return cnt;
for(auto a : v[b]) {
if(visited[a] == 1) continue;
cnt += f(a);
}
return cnt;
}
대소비교 해서 ret에 넣는 것 까지...
정말 깔끔하고 좋습니다. ㅎㅎ
그래도 수업에서 알려주시는 걸 사용하려고 하는데...ㅎㅎ
-> 이것도 좋은데 더 나은 방법이 있거나 깔삼하게 하는 방법있으면 그렇게 하셔도 무방합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원재님!
올려주신 코드와 큰돌님의 접근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셨는데요, 이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에 있어서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큰돌님의 방식에서는 mx
값을 사용하여 DP 배열에서 최대값을 추적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전체적인 최댓값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면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로직을 명확히 하고 디버깅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원재님께서 작성하신 코드는 prev
변수를 사용하여 이전 상태를 기반으로 값을 비교하여 최댓값을 찾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이는 특정 경우에 따라 더 적은 메모리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가 중요하다면, 큰돌님의 방식처럼 mx
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두 접근 방식 모두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할 수 있다면, 최종적으로 코드를 작성할 때는:
- 코드의 가독성,
- 효율성 (메모리와 시간 복잡도),
- 그리고 유지보수 용이성을 고려하시면 좋겠습니다.
설명과 예제를 더 보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게시글들은 참고가 될 수 있습니다:
- 7.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초 - DP에 대한 기본적인 접근 방식을 더 깊게 다룹니다.
- 2. 정수의 수열 문제 해결하기 - 로직을 다르게 구현한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