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
0
강의: 2-4. 절차에서 객체로
강의 부분: 5:46 ~
질문
DiscountPolicy를 통해 DiscountCondition을 캡슐화한 상태에 대해 'DiscountPolicy의 public 메서드를 수정하는 경우에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씀하신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DiscountPolicy가 전면에 나와 ReservationService에 의해 참조되는 중이니 DiscountPolicy의 public 메서드 시그니처가 변경된다면 ReservationService가 직접 영향을 받으리라 생각됩니다. 혹시 DiscountCondition을 수정하여 그 여파가 DiscountPolicy의 메서드 바디를 수정하게 하더라도 ReservationService는 DiscountPolicy의 메서드를 호출만 하는 상태이니 ReservationService에는 영향이 가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그리고 뭔가해서 눌러보셨을 다른 수강생분들.
모두 좋은 추석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백엔드해야지님께서 질문하신 부분은 객체지향 설계에서 권장되는 캡슐화와 그 이점에 대한 것입니다. 강의에서 언급한 “DiscountPolicy의 public 메서드를 수정하는 경우에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는 몇 가지 중요한 개념을 설명합니다.
메서드 시그니처의 중요성:
DiscountPolicy
의 public
메서드 시그니처가 유지된다면, 내부 구현이 변경되더라도 ReservationService
와 같은 외부 클라이언트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는 객체지향의 캡슐화 원칙덕분에 가능합니다. 캡슐화는 객체의 세부 구현을 숨기고, 공용 인터페이스만 외부에 드러내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내부 로직 변경의 투명성:
DiscountCondition
의 세부적인 구현이나 정책이 변경된다 하더라도, DiscountPolicy
자체의 public
메서드가 변하지 않는 한, ReservationService
는 그 변화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는 DiscountCondition
과 ReservationService
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는 효과를 줍니다.그러므로, 백엔드해야지님이 추측하신 대로, DiscountPolicy
의 메서드가 호출만 되어 있는 상태라면 ReservationService
는 영향받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DiscountPolicy
는 DiscountCondition
을 캡슐화하여, 정책 구현의 변화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DiscountPolicy
내부의 로직에서 DiscountCondition
을 활용하여 할인 조건을 처리하지만, 외부에서는 이 내부 로직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ReservationService
는 오로지 DiscountPolicy
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니, 이러한 설계가 유지된다면 ReservationService
는 변경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것입니다.이와 관련한 더 많은 설명과 예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객체지향 설계에서의 캡슐화 사례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