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1
·
수정됨
0
일단 질문에 앞서 코틀린에 대한 개념이 하나도 없다라는 점 이해해주시길 바라면서
강의 내용을 보다가 패키지나 클래스 파일 생성하는 방식이 너무 독특해서 질문을 하지 않을수가 없더라구요
클래스파일을 생성하면 패키지 경로가 생성되고 디렉터리 구조를 패키지 경로에 맞춰서 생성하는걸 당연하게 생각해왔었는데,
View.kt를 예로 View와 관련된 클래스들을 내부에 생성하시는걸 보고 독특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제를 기반으로 한 강의다보니 변수들의 개수가 적은것도있고, 강의 내용에 별로 중요한 부분이 아니라서 이런 방식을 채택하시는건지
아니면 실무에서도 이런 방식으로 개발을 하시는건지, 실무에서 사용하신다면 팀원들과의 협업에 문제가 없었는지 궁금합니다!
순수하게 궁금해서 질문드려욥ㅠ
답변 2
0
안녕하세요 동민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패키지 경로는 제가 구현을 하면서 일부 설정이 잘못된 경우였던걸로 기억나는데, 이러한 설정을 기반으로도 동작이 가능하다는것을 보여드리고자 그냥 그대로 진행하였습니다. 딱히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았어요. 또한 실무에서도 이 부분은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경로를 사용하는게 일반적이겠죠. 이 부분은 강의에서 크게 중요한 부분은 아니라서 그냥 그대로 진행했다고 봐주시면 됩니다.
View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강의 목표와는 무관한 내용이기떄문에, 크게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혹시라도 혼동이 오신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사과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강의 목표에 벗어나는 주제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하지 않고 안일하게 생각한 저의 잘못이죠 ㅠㅠ
0
추가 질문)
fun from(transaction: Transaction) = TransactionView( id = transaction.id!!, accountId = transaction.account.id!!,
Entity에서 id값들이 nullable이 아닌데
!! <-- 요거 해두신 이유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IDE 경고가 계속 떠있어서욥)
소스코드 다시 확인해보니 둘다 타입이 명확하게 구분이 되어있고 불변으로 선언이 되어 있네요.
이렇게 사용해주셔도 무방합니다. 개인적인 오타로 보입니다!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