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8
·
수정됨
0
제로초님! 영상처럼 eas.json에
{
"cli": {
...
"appVersionSource": "remote"
},
"build": {
....
"production": {
"autoIncrement": true,
"channel": "production"
}
},
....
}
이렇게 설정하면 앱 submit마다 빌드 넘버가 자동으로 올라가는거고,
현재 저의 app.json은
{
"expo": {
...
"version": "1.0.0",
"runtimeVersion": "1.0.0",
...
},
}
이렇게 돼있는데, eas updates 할 때의 버전 관리는 update 할 때마다 runtimeVersion에서 별도로 해줘야되는게 맞을까요??
답변 2
0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영훈님.
React Native Expo 프로젝트에서의 버전 관리와 관련하여 설정 부분을 조정하면서 혼란을 겪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
eas.json
의 설정에서 "appVersionSource": "remote"
는 빌드를 할 때 원격 소스를 기반으로 버전을 관리한다는 설정입니다. 그리고 "autoIncrement": true
는 앱을 빌드할 때마다 build number를 자동으로 증가시키는 설정입니다. 이 설정은 앱 마켓에 제출할 때 각 빌드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제 app.json
을 보시면 "version"
과 "runtimeVersion"
이 있습니다.
"version"
: 이 값은 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버전을 설정하는 것이며, 앱 스토어에 제출하는 동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untimeVersion"
: 이 값은 expo-updates
를 사용할 때 중요합니다. runtimeVersion
은 코드 푸시를 관리할 때 어떤 코드가 어느 버전으로 배포될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특정 앱 버전에만 코드 푸시가 적용되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as updates
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각 업데이트마다 runtimeVersion
을 적절하게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업데이트가 원치 않는 이전 버전에 적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다음과 같은 유사 질문들과 답변을 참고해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