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2
0
안녕하세요 코팩님.
if (fetchMore && (isLoading || isRefetching || isFetchingMore)) {
print('fetchMore=$fetchMore, isLoading=$isLoading, isRefetching=$isRefetching, isFetchingMore=$isFetchingMore');
return;
}
이 코드는 엄밀히 말하자면, 로딩 중일 때 paginate 요청을 했을 때 즉 너무 빠르게 스크롤 할 경우를 대비한 중복 방지를 위한 코드라고 볼 수 있을까요?
답변 2
0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elloworld님.
질문에서 언급하신 코드 블록은 fetchMore
시나리오에 대한 방어적 코딩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는 주로 데이터의 중복 로드와 관련된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당 조건문은 페이징 함수가 이미 진행 중인 상황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데이터 로드가 다시 요청될 때 불필요한 네트워크 호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너무 빠르게 스크롤 할 경우 기존 로드를 완료하지 않고 다시 로드를 요청하게 되면 중복 데이터 페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상태에서는 함수를 즉시 빠져나와 추가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는 것이죠.
관련된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질문에서도 유사한 상태 관리 상황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