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4
답변 2
0
안녕하세요 원재님 ㅎㅎ
vector말고 스택의 이점이 있나요?
->
해당 코드에서는 스택과 vector는 동일한 시간복잡도를 가져서 스택의 이점은 없습니다. vector의 pop_back이나 push_back()의 경우 O(1)입니다. 스택을 안쓰고 저렇게 vector로 pop_back()이나 push_back()을 써도 무방합니다. 잘하셨습니다. ㅎㅎ
다만, 나중에 질문하실 때 코드스샷이 아니라 0주차 질문하는 방법 참고하셔서 질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원재님.
현재 질문의 핵심은 스택 대신 벡터를 사용해도 되는지와 스택을 사용할 때의 이점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C++에서 벡터와 스택은 모두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지만, 각각의 용도와 장단점이 있습니다.
추상적 자료 구조: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의 대표적인 추상 자료 구조입니다. 추상화의 장점은 구현 세부사항을 숨기고, 자료 구조의 동작 측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는 점입니다.
수월한 사용 및 관리: 스택은 특정한 후입선출 규칙에 따라서 데이터가 관리되기에, 다른 자료 구조에 비해 특정 작업(예: 삽입, 제거)을 수행할 때에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효율성: 스택을 사용하는 경우, push
및 pop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메모리 사용에 직접적인 컨트롤이 용이합니다. 벡터에서는 크기 계산이 필요한데, 스택에서는 이 과정이 간단합니다.
벡터를 서브스티튜드로 사용할 경우, push_back
과 pop_back
으로 스택과 유사한 작동을 모방할 수 있습니다. 단, 벡터의 크기를 잘 관리해야 하고, 성능 상 이슈가 생길 수 있습니다. 벡터는 크기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메모리에 종속성을 가질 수 있고, 필요할 때 마다 메모리 재할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벡터를 사용하면 보다 자유롭고 유연한 데이터 조작이 가능합니다. 이동, 삽입, 삭제 등이 유연하지만, 불필요한 메모리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택만의 이점은 코드의 직관성과 특정한 메모리 관리, 효율적 연산에서 드러납니다. 하지만 벡터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관리 가능한 환경 내에서 필요한 메모리와 성능이 허용된다면 벡터의 사용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에서 기존 답변이나 추가 설명이 포함된 질문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 1-M 질문 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