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7
0
찾아보니 아래처럼 나옵니다.
```
fetchResults()
는 Querydsl 5.x부터 deprecated(더 이상 권장되지 않음) 처리되었습니다.
fetchResults()
는 count 쿼리
와 content 쿼리
를 내부적으로 두 번 실행해서 결과를 가져옵니다.
즉, 전체 개수(total count
)와 페이징된 결과(results
)를 한 번에 반환하려고 했는데,
JPA 환경에서는 count 쿼리 최적화 문제
SQL이 복잡해질 경우 성능 저하 문제
Querydsl 5.x 이후로는 직접 count 쿼리와 content 쿼리를 분리해서 호출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주영222님,
질문하신 fetchResults()
의 사용에 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Querydsl 5.x 버전부터 fetchResults()
와 fetchCount()
가 deprecated 되었습니다. 이것은 fetchResults()
가 내부적으로 count
쿼리와 content
쿼리를 두 번 실행하여 성능 저하 및 최적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Querydsl 5.x 이후로는 count
쿼리와 content
쿼리를 분리해서 호출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각각의 쿼리를 분리해서 실행하면 더 나은 성능과 명확한 쿼리 최적화를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더 자세한 설명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fetchResults(), fetchCount() deprecated” - fetchResults()
및 fetchCount()
의 비효율성 및 대안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Deprecated - fetchResults()
와 fetchCount()
가 deprecated 된 이유와 대안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변경 사항에 따라 패칭 로직을 어떻게 변경해야 하는지도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fetchResults()
를 대체하기 위한 권장 방법인 count()
와 fetch()
를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구현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