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3
답변 2
0
UI가 조금 변경되었는데요!
Cursor AI의 Rules 사용법을 룰 타입별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Cursor AI Rules 타입별 사용법
설명: 모든 채팅과 Cmd+K 세션에 적용되는 글로벌 룰
사용 시기:
프로젝트 전반의 코딩 스타일 가이드
항상 지켜야 할 개발 원칙
기본 언어나 프레임워크 설정
예시:
- TypeScript를 사용하여 개발
- ESLint 규칙 준수
- 함수명은 camelCase 사용
- 주석은 한국어로 작성
설명: AI가 컨텍스트를 판단하여 관련성이 있을 때만 자동 적용
사용 시기:
특정 기술 스택 관련 가이드라인
도메인별 베스트 프랙티스
조건부 적용이 필요한 규칙
예시:
- React 컴포넌트 작성 시 hooks 패턴 사용
- API 호출 시 에러 핸들링 필수
- 데이터베이스 쿼리 시 성능 최적화 고려
설명: 지정된 파일 패턴과 일치하는 파일에만 적용
사용 시기:
특정 파일 확장자나 디렉토리 규칙
테스트 파일, 설정 파일 등 특수 용도 파일
설정 방법: 파일 패턴 지정 (예: *.test.ts
, src/components/**
)
예시:
패턴: src/api/**
룰: axios 사용, 에러 처리 표준화
설명: @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호출할 때만 적용
사용 시기:
특별한 상황에서만 필요한 규칙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싶은 가이드라인
실험적이거나 임시적인 규칙
사용 방법: 채팅에서 @룰이름
으로 호출
예시:
룰 이름: performance-optimization
내용: 성능 최적화를 위한 코드 리팩토링
가이드사용: "이 코드를 @performance-optimization 해줘"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음파님!
Cursor AI의 프로젝트 룰 설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최신 버전에서는 여러 Rule Type을 선택할 수 있어 기존의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각 타입의 의미와 사용법을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Always Apply: 모든 경우에 룰을 적용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규칙을 설정할 때 유용합니다.
Apply Intelligently: AI가 필요한 경우에 자동으로 룰을 적용합니다. AI의 판단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때 사용합니다.
Apply to Specific Files: 특정 파일 형식이나 경로에만 룰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파일 패턴(hr.tsx)에만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Apply Manually: @ruleName으로 직접 호출할 때 룰을 적용합니다. 수동으로 룰을 컨트롤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따라 특정한 룰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파일 패턴에만 룰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Apply to Specific Files”를 선택하시고, 프로젝트의 모든 경우에 일정한 룰이 필요하다면 “Always Apply”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관련된 구체적인 예시와 활용법에 대해 추가 정보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세팅과 Rule 응용에서는 Manual 타입 사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jects rules type에서는 각 타입별 적용 상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 내용 덕분에 헷갈리던 부분이 잘 이해됐습니다ㅎㅎ